text
stringlengths 13
957k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대통령 정보
| 이름 = 지미 카터
| 원어명 = {{lang|en|Jimmy Carter}}
| 그림 = JimmyCarterPortrait2.jpg
| 크기 = 300px
| 설명 = 제임스 얼 카터(1978년)
| 국가 = 미국
| 대수 = 39
| 취임일 = 1977년 1월 20일
| 퇴임일 = 1981년 1월 20일
| 부통령 = [[월터 먼데일]]
| 전임 = 제럴드 포드
| 전임대수 = 38
| 후임 = 로널드 레이건
| 후임대수 = 40
<!--주지사-->
|국가2 = [[조지아주]]
|명칭2 = [[주지사]]
|대수2 = 76
|취임일2 = 1971년 1월 12일
|퇴임일2 = 1975년 1월 14일
|부통령2 = 레스터 매독스
|부통령명칭2 = 부주지사
|전임2 = 레스터 매독스
|전임대수2 =
|후임2 = 조지 버스비
|후임대수2 =
<!--주의회 상원 의원-->
|공직2 = [[조지아주]] 의회
|공직2명칭 = 주 상원 의원(제14구역)
|공직2대수 =
|공직2취임일 = 1963년 1월 14일
|공직2퇴임일 = 1967년 1월 10일
|공직2전임 =
|공직2후임 = 휴 카터
| 국적 = [[미국]]
| 출생일 = {{출생일과 나이|1924|10|1}}
| 출생지 = [[미국]] [[조지아주]] [[플레인스 (조지아)|플레인스]]
| 사망일 =
| 사망지 =
| 정당 = [[민주당 (미국)|민주당]]
| 학력 = [[조지아 남서 주립대학교]]<br />[[조지아 공과대학교]]<br />[[유니언 칼리지]]<br />[[미국 해군사관학교]]
| 종교 = [[침례교]]
| 부모 = 부 제임스 얼 카터 시니어(1894년~1953년)<br />모 릴리안 고디 카터(1898년~1985년)
| 배우자 = [[로절린 카터]] (1946년 결혼~2023년 사별)
| 형제 = 2남 2녀 중 장남
| 자녀 = 장남 잭 카터(1947년~)<br />차남 칩 카터 (1950년~)<br />삼남 도넬 카터(1952년~)<br />장녀 에이미 카터 (1967년~)
| 서명 = Jimmy Carter Signature-2.svg
| 웹사이트 = http://www.cartercenter.org/index.html
| 서훈= [[노벨 평화상]](2002)
}}
'''제임스 얼 “지미” 카터 주니어'''({{llang|en|James Earl Carter, Jr.}}, [[1924년]] [[10월 1일]]~)는 [[민주당 (미국)|민주당]] 출신 [[미국]]의 제39대 [[미국의 대통령|대통령]] (1977-81)이다.
== 약력 ==
* 1963. 조지아 주 의회 상원의원
* 1971.01. 제76대 조지아 주지사 (1971.1.12.~1975.1.14.)
* 1977.01. 제39대 미국 대통령 (1977.1.20.~1981.1.20.)
* 1999. 미국 대통령 자유 훈장 수훈
* 2002. [[노벨 평화상]] 수상
* 2007. 제49회 그래미 어워드 최고의 낭독 앨범상 수상
* 2016. 제58회 그래미 어워드 최고의 낭독 앨범상 수상
== 생애 ==
=== 어린 시절 ===
지미 카터는 [[조지아주]] 섬터 카운티 플레인스 마을에서 태어났다.
[[조지아 공과대학교]]를 졸업하였고, 그 후 해군에 들어가 전함·원자력·잠수함의 승무원으로 일하였다. 1953년 [[미국 해군]] [[대위]]로 예편하였고 이후 땅콩·면화 등을 가꿔 많은 돈을 벌었다. 그의 별명이 "땅콩 농부" (Peanut Farmer)로 알려졌다.
=== 정계 입문 ===
1962년 [[조지아주]] 상원 의원 [[선거]]에서 낙선하였으나, 그 선거가 부정선거 였음을 입증하게 되어 당선되고, 1966년 조지아 주지사 선거에 낙선하지만, 1970년 조지아 주지사 선거에서 당선됐다. 대통령이 되기 전 [[조지아주]] 상원의원을 두번 연임했으며,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조지아 지사로 근무했다.<ref>{{웹 인용 | url=http://www.georgiaencyclopedia.org/nge/Article.jsp?id=h-676 | 제목=Jimmy Carter | 출판사=Georgia Humanities Council | 저자=조지아주 백과사전 | 확인날짜=2008-09-04 | archive-date=2007-11-18 |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071118040742/http://www.georgiaencyclopedia.org/nge/Article.jsp?id=h-676 | url-status=dead }}</ref> 조지아 주지사로 지내면서, [[아프리카계 미국인|미국에 사는 흑인]] 등용법을 내세웠다.
== 대통령 재임 ==
[[파일:Inauguration of Jimmy Carter.jpg|섬네일|왼쪽|380px|취임식을 올리는 카터]]
1976년 미합중국 제39대 대통령 선거에 [[민주당]] 후보로 출마하여 [[도덕주의]] 정책을 내세워서 많은 지지를 받았으며 [[제럴드 포드]] 대통령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카터 대통령은 에너지 개발을 촉구했으나 [[공화당 (미국)|공화당]]의 반대로 무산되었다.<ref>[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9835341 카터 에너지 계획의 내용과 전망 ]</ref><ref>[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9837242 카터미대통령의 에너지 계획 (카터美大統領의 에너지 計劃) ]</ref><ref>[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9887138 ... 에너지대책 과 평가]</ref><ref>[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9887100 카터 대통령의 연설]</ref>
=== 외교 정책 ===
[[파일:Sadat Carter Begin, Camp David 1978.gif|섬네일|300px|[[캠프데이비드]]에서 [[안와르 사다트|사다트]]와 [[메나헴 베긴|베긴]]과 함께]]카터는 [[이집트]]와 [[이스라엘]]을 조정하여 캠프 데이비드에서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과 [[메나헴 베긴]] 수상과 함께 중동 평화를 위한 [[캠프데이비드 협정]]을 체결했다. 이것은 공화당과 미국의 유대인 단체의 반발을 일으켰다. 그러나 1979년, 양국 간의 평화조약이 [[백악관]]에서 이루어졌다.
[[소련]]과 제2차 [[전략 무기 제한 협상]](SALT II)에 조인했다.
카터는 [[1970년대]] 후반 당시 [[대한민국]] 등 인권 후진국의 국민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취임 이후 계속해서 도덕정치를 내세웠다.
임기 말,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사건으로 인해 [[1980년 하계 올림픽]]에 반공국가들의 [[보이콧]]을 하였다.
그는 [[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의 인질 구출 실패로 인한 원인으로, 1980년 제40대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미국)|공화당]]의 [[로널드 레이건]]에게 패배하며 재선에 실패하였다.
=== 대한민국과의 관계 ===
지미 카터는 [[대한민국]]과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대통령 중 하나다. 인권 문제와 주한미군 철수 문제로 한때 한미 관계가 불편하기도 했다. 1978년 대한민국에 대한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위협에 대비해 [[한미연합사]]를 창설하면서, 1982년까지 3단계에 걸쳐 주한미군을 철수하기로 했다. 그러나 주한미군사령부와 정보기관·의회의 반대에 부딪혀 주한미군은 완전철수 대신 6,000명을 감축하는 데 그쳤다<ref>{{웹 인용 |url=http://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372344 |제목=JOINS {{!}}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 봇이 붙인 제목 --> |확인날짜=2008-12-21 |archive-date=2012-07-07 |archive-url=https://archive.today/20120707005625/article.joins.com/article/article.asp?Total_ID=3372344 |url-status= }}</ref>. 또한 [[박정희]] 정권의 인권 문제 등과의 논란으로 불협화음을 냈으나, 1979년 6월 하순, 대한민국을 방문했는데 관계가 다소 회복되었다.
1979년~1980년 대한민국의 정치적 격변기 당시의 대통령이었던 그는 이에 대해 애매한 태도를 보였고, 이는 후에 대한민국 내에서 고조되는 반미 운동의 한 원인이 됐다.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 의해 [[10·26 사건|살해]]된 것에 대해 그는 이 사건으로 큰 충격을 받았으며, [[사이러스 밴스]] [[미국의 국무장관|국무장관]]을 조문사절로 파견했다. [[12·12 군사 반란]]과 [[5.17 쿠데타]]에 대해 초기에는 강하게 비난했으나, 미국 정부가 [[신군부]]를 설득하는데, 한계가 있었고 결국 묵인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게 됐다.
== 퇴임 이후 ==
[[파일:Ranjit_Bhaskar_Juba,_jan_9,_2011042_-_Flickr_-_Al_Jazeera_English.jpg|섬네일|왼쪽|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에 업저버 사절단을 지도한 카터]]
퇴임 이후 민간 자원을 적극 활용한 비영리 기구인 카터 재단을 설립한 뒤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제 3세계의 선거 감시 활동 및 기니 벌레에 의한 드라쿤쿠르스 질병 방재를 위해 힘썼다. 미국의 빈곤층 지원 활동, 사랑의 집짓기 운동, 국제 분쟁 중재 등의 활동도 했다.
카터는 카터 행정부 이후 미국이 북핵 위기, [[코소보 전쟁]], [[이라크 전쟁]]과 같이 미국이 군사적 행동을 최후로 선택하는 전통적 사고를 버리고 군사적 행동을 선행하는 행위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시 하며 미국의 군사적 활동에 강한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국제 분쟁 조정을 위해 북한의 [[김일성]], 아이티의 세드라스 장군, 팔레인스타인의 [[하마스]], 보스니아의 세르비아계 정권 같이 미국 정부에 대해 협상을 거부하면서 사태의 위기를 초래한 인물 및 단체를 직접 만나 분쟁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힘썼다. 이 과정에서 미국 행정부와 갈등을 보이기도 했지만, 전직 대통령의 권한과 재야 유명 인사들의 활약으로 해결해 나갔다.
1978년에 채결된 [[캠프데이비드 협정]]의 이행이 지지부진 하자 중동 분쟁 분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3년 퇴임 후 직접 이스라엘과 팔레인스타인의 [[오슬로 협정]]을 이끌어 내는 데도 성공했다.
[[파일:Presidents_Obama,_Clinton,_and_Carter.jpg|섬네일|오른쪽|워싱턴 행렬 50주년을 맞는 날 [[빌 클린턴]],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함께 (2013년)]]
1993년 1차 북핵 위기 당시 북한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행동이 임박했으나, 미국 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방문하고 미국과 북 양국의 중재에 큰 기여를 해 위기를 해결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이 때 김영삼 대통령과 김일성 주석의 만남을 주선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수주일 후 김일성이 갑자기 사망하였으므로 [[김일성]]과 [[김영삼]] 정상회담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미국의 관타나모 수용소 문제, 세계의 인권문제에서도 관심이 깊어 [[유엔]]에 유엔인권고등판무관의 제도를 시행하도록 노력하여 독재자들의 인권 유린에 대해 제약을 하고, 국제형사재판소를 만드는데 기여하여 독재자들 같은 인권유린범죄자를 [[법원|재판소]]로 회부하여 국제적인 처벌을 받게 하는 등 인권 신장에 크나 큰 기여를 했다.
2011년 4월 26일부터 29일까지 북한을 3일간 방문했다.
2014년 12월, [[통합진보당]] [[이석기]] 전 의원의 유죄판결에 대해 우려하는 내용의 성명서를 한국 대법원에 발송했다.
둘째 아들 칩 카터가 가수 [[윌리 넬슨]]과 백악관 지붕에서 마리화나를 피운 사실을 털어놨다.
2020년에는 28년만에 [[대통령 선거]]에서 고향 조지아 주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는 기쁨을 맛봤다.
2021년 1월 20일에 행할 예정인 [[조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식에는 불참을 결정했다. 불참 이유를 명확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코로나19]]의 유행에 따른 방역 지침을 지키기 위해서로 보인다고 발혔는데 그 대신, 바이든의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는 메시지를 보냈다.
2015년 간 종양이 발견되어 수술을 받아서 좋은 결과가 나오긴 했으나 암이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것이 발견되어 수술을 받을 예정이라 한다. 암은 [[흑색종]]으로 진단되었으며 간에서 종양이 2.5cm 절제되었다. 허나 암이 뇌에 전이된 것이 발견되었고, 2015년 8월 20일(현지시간) 오후에 첫 방사능 치료를 했다.
그런데 그가 암을 이겨낸 지 불과 2주 만에 그의 손자인 제레미 카터가 사망했다는 비보를 듣게 되었다. 수면 중 심장마비로 고통없이 사망했으며 심장병에 걸린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022년 10월 1일, 98번째 생일을 맞이했으며 고향인 [[조지아주]] 플레인스의 땅콩 축제에 참가했다.
2023년 2월 18일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이 연명치료를 중단하고 자택에서 [[호스피스]] 간병에 들어갔다는 지미 카터 센터의 성명이 발표되었다.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진단을 받고 그동안 자택에서 투병 중이었으며 현재는 암세포가 뇌와 간 등으로 전이되어 더 이상의 연명치료를 포기하고 남은 시간은 가족들과 함께 보낼 것이라고 한다. 호스피스 케어는 보통 만성질환이나 불치병으로 투병하는 시한부 환자들이 사망하기 전에 거치는 과정이기에 이제 그의 삶도 오래 남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민주당의 동지이자 정치적 후배인 조 바이든 역시 이 소식을 접했다고 한다.
그의 손자인 조시 카터는 8월 19일에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할아버지가 '마지막 장'에 들어섰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카터는 2015년 당시에도 뇌암이 4기까지 진행되었으나 끝내 완치했었고 8년이 지난 현재는 그보다 더 나이가 든 만큼 카터가 곧 사망할 것이라고 속단하기는 이르다.
== 평가 ==
=== 외교 ===
카터의 이상주의적 [[도덕주의]] 외교정책은 현실에서 많은 좌절을 겪었으며 특히 인권외교라는 멋들어진 표어와는 정반대되는 차우세스쿠 같은 독재자 가운데에서도 막장 독재자들과 어울리는 위선적인 행태는 카터와 미국의 외교에 큰 오점으로 남았으며, 거기에 비록 닉슨 독트린의 연장선상이긴 하지만 여러 친중적인 행보들은 21세기 신냉전 체체에 들어서 미중갈등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다시 비판받고 있다.
경제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주 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에 [[발목]]이 잡혀 실패한 대통령으로 평가를 받지만 이란 사태는 미국 내 이란 재산을 풀어주겠다는 조건을 내세워서 사실상 카터가 해결한 것이었고 [[사랑의 집짓기 운동]] 등으로 퇴임 이후에 훨씬 더 존경받는 미국 대통령 중에 특이한 인물로 남았다.
=== '도덕주의 외교' - 반론과 재반론 ===
그는 2002년 말 인권과 중재 역할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평화상]]을 받게 되었다.
이외에도, 그는 대통령 재임 시절은 물론 퇴임 후에도 지속적으로 여러 장기 집권중인 독재자들을 만나왔는데, 그와 만난 독재자들 중 절대 다수가 얼마 되지 않아 최후를 맞이하게 되며 '독재자의 사신'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이렇게나 상당히 자신들의 목적과 한계를 잘 파악한, 매우 정교한 외교안을 뜬구름 잡는다고 느낀다면, 인권 개념 자체를 추상적이고 비현실주의적인 것으로 보는 입장에서이다. 다르게는, 무작정 모든 인류의 인권을 지켜주고 상향시키지 못했기에 실패했다는 식의 비판이 된다.
=== 국방 ===
이미지메이킹을 통해 어필한 레이건에 가려져서 그렇지 실질적으로 소련을 군사력으로 압도하려 했던 핵심인물이었다. M1 에이브람스, F-117, M270 MLRS 등 밀리터리 매니아들에게 잘 알려진 주요 무기체계들이 카터 정권 때 집중적으로 추진되었으며 국방비도 오히려 증가되었다. ALCM, [[LGM-118A 피스키퍼]], B-2, [[UGM-96 트라이던트 I]] 등 전략무기체계의 현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했었다. 카터 정권 때 추진된 대규모 군사력 프로젝트는 후에 레이건 행정부의 큰 군사적 자산이 되었다. 안 그래도 미국 경제력의 반도 안되는 소련은 질적으로 우월해진 미국의 군사력에 대응하기 위해 거대한 재래식 군사력을 계속 유지하다가 군비경쟁을 감당 못하고 경기침체에 빠지게 되었다.
== 같이 보기 ==
* [[주한 미군의 철수]]
* [[한반도 평화협정]]
== 역대 선거 결과 ==
{| class="wikitable"
|-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 (선거인단)||결과||당락
|-
|[[1970년 조지아 주지사 선거|1970년 선거]]||[[조지아주의 주지사|조지아 주지사]]||76대||[[민주당 (미국)|민주당]]||{{막대|청|5|9|2|8}} 59.28%||620,419표||1위||[[파일:Seal_of_Georgia.svg|25px|조지아 주지사 당선]]
|-
|[[1976년 미국 대통령 선거|1976년 선거]]||[[미국의 대통령 목록|미국의 대통령]]||39대||[[민주당 (미국)|민주당]]||{{막대|청|5|0|0|8}} 50.08%||40,831,881표 (297명)||1위||[[파일:Seal_of_the_President_of_the_United_States.svg|25px]]
|-
|[[1980년 미국 대통령 선거|1980년 선거]]||[[미국의 대통령 목록|미국의 대통령]]||40대||[[민주당 (미국)|민주당]]||{{막대|청|4|1|0|2}} 41.02%||35,483,820표 (49명)||2위||낙선
|}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 《진정한 리더는 떠난 후에 아름답다》 저자 : 지미 카터
* 《지미 카터》 저자 : 지미 카터(지식의날개, 2018)
* {{글로벌세계대백과}}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줄|Jimmy Carter}}
* {{구텐베르크 저자|Jimmy+Carter}}
{{미국의 대통령
|전임자 = [[제럴드 포드]]
|후임자 = [[로널드 레이건]]
|대수 = 39
|임기 = 1977년 1월 20일~1981년 1월 20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미국의 여성사|미국의 여성들]]
|후임자 = [[안와르 사다트]]
|대수 = 50
|직책 = [[타임 올해의 인물]]
|임기 = 1976년
}}
{{전임후임
|전임자 = [[제럴드 포드]]
|후임자 = [[로널드 레이건]]
|직책 = [[미국]]의 국가 원수
|임기 = 1977년 1월 20일~1981년 1월 20일
}}
{{노벨 평화상 수상자}}
{{2002년 노벨상 수상자}}
{{필라델피아 자유의 메달 수상자}}
{{타임 올해의 인물}}
{{냉전의 인물들}}
{{전거 통제}}
{{기본정렬:카터, 지미}}
[[분류:지미 카터| ]]
[[분류:1924년 출생]]
[[분류:1976년 미국 대통령 후보]]
[[분류:1980년 미국 대통령 후보]]
[[분류:그래미상 수상자]]
[[분류:노벨 평화상 수상자]]
[[분류:미국 해군의 장교]]
[[분류:미국의 침례교도]]
[[분류:미국의 노벨상 수상자]]
[[분류:미국의 농부]]
[[분류:미국의 대통령]]
[[분류:미국의 역사 (1964-1980)]]
[[분류:미국의 외교관]]
[[분류:미국의 인도주의자]]
[[분류:미국의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분류:미국의 진보주의]]
[[분류:민주당 (미국)의 정치인]]
[[분류:살아있는 사람]]
[[분류:스코틀랜드계 미국인]]
[[분류:아일랜드계 미국인]]
[[분류:잉글랜드계 미국인]]
[[분류:영국계 미국인]]
[[분류:네덜란드계 미국인]]
[[분류:스위스계 미국인]]
[[분류:프랑스계 미국인]]
[[분류:독일계 미국인]]
[[분류:조지아 공과대학교 동문]]
[[분류:조지아주의 정치인]]
[[분류:조지아주지사]]
[[분류:미국의 회고록 작가]]
[[분류:에모리 대학교 교수]]
[[분류:미국 해군사관학교 동문]]
[[분류: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 동문]]
[[분류: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동문]]
[[분류:타임 올해의 인물]]
[[분류:군사 기술자]]
[[분류:이란 혁명 관련자]]
[[분류:미국의 민주주의 운동가]]
[[분류:주이란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
[[분류:조지아주의 민주당 당원]]
[[분류:조지아주 출신 작가]]
[[분류: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관련자]]
[[분류:20세기 미국 사람]]
[[분류:21세기 미국 사람]]
[[분류:미국의 백세인]]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학문 정보
| 학문명 = 수학
| 그림 = Portal Math Banner Background ka.jpg
| 그림크기 = 330
| 그림설명 =
| 다른 이름 =
| 연구 분야 =
| 학문 분야 = [[자연과학]]
| 주요 개념 =
| 파생 분야 =
| 관련 직업 = [[수학자]]
}}
'''수학'''(數學, {{llang|en|mathematics, math, maths}})은 [[수 (수학)|수]], [[양 (크기)|양]], [[구조]], [[공간]], [[변화]] 등의 [[개념]]을 다루는 [[학문]]이다.<ref name="OED">{{웹 인용|url=http://oed.com/view/Entry/114974 |title=mathematics, ''n.'' |publisher=Oxford University Press |website=Oxford English Dictionary |year=2012 |access-date=June 16, 2012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1116075558/https://www.oed.com/view/Entry/114974 |archive-date=November 16, 2019 |url-status=live }}</ref> 널리 받아들여지는 명확한 정의는 없으나<ref name="Mura">{{저널 인용|author=Mura, Roberta|date=Dec 1993|title=Images of Mathematics Held by University Teachers of Mathematical Sciences|journal=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volume=25|issue=4|pages=375–85|doi=10.1007/BF01273907|jstor=3482762|s2cid=122351146|issn = 0013-1954}}</ref> 현대 수학은 일반적으로 엄밀한 [[논리]]에 근거하여 [[추상적 대상]]을 탐구하며, 이는 규칙의 발견과 문제의 제시 및 해결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ref name="devlin">Devlin, Keith, ''Mathematics: The Science of Patterns: The Search for Order in Life, Mind and the Universe'' (Scientific American Paperback Library) 1996, {{isbn|978-0-7167-5047-5}}</ref> 수학은 그 발전 과정에 있어서 [[철학]], [[과학]]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엄밀한 논리와 특유의 추상성, 보편성에 의해 다른 학문들과 구별된다. 특히 수학은 과학의 여느 분야들과는 달리 자연계에서 관측되지 않는 개념들에 대해서까지 [[이론]]을 추상화시키는 특징을 보이는데, [[수학자]]들은 그러한 개념들에 대한 [[추측]]을 제시하고 적절하게 선택된 [[정의 (논리학)|정의]]와 [[공리]]로부터 엄밀한 [[연역]]을 거쳐 그 진위를 파악한다.
수학의 개념들은 기원전 600년 경에 활동하며 최초의 수학자로도 여겨지는 [[탈레스]]의 기록은 물론, 다른 고대 문명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인류의 문명과 함께 발전해 왔다. 오늘날 수학은 [[자연과학]], [[사회과학]], [[공학]], [[의학]] 등 거의 모든 학문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 수학|응용]]된다.
수학을 의미하는 mathematics라는 단어는 '아는 모든 것', '배우는 모든 것'이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máthēma'(μάθημα) 및 그 활용형 mathēmatikós(μαθηματικός)에서 유래되었다.
== 역사 ==
{{본문|수학의 역사}}
역사적으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문명에 필수적인 [[건축]], [[천문학]], [[정치]], [[상업]] 등에 수학적 개념들이 응용되어 왔다. 교역·분배·과세 등 인류의 사회 생활에 필요한 모든 계산에 수학이 관여해 왔고, 농경 생활에 필수적인 천문 관측과 달력의 제정, 토지의 측량 또한 수학이 직접적으로 사용된 분야이다. 고대 수학을 크게 발전시킨 문명으로는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인도]], [[중국]], [[그리스]] 등이 있다.
특히 고대 그리스 문명에서는 처음으로 [[방정식]]에서 [[변수 (수학)|변수]]를 문자로 쓰는 등 추상화가 발전하였고 [[유클리드의 원론]]에서는 최초로 엄밀한 논증에 근거한 수학이 나타난다. 수학의 발전은 이후로도 계속되어 [[16세기]]의 [[르네상스]]에 이르러서는 [[과학적 방법]]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학과 자연과학에 있어서 혁명적인 연구들이 진척되었고, 이는 인류 문명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세부 분야 ==
[[파일:Abacus 6.png|right|섬네일|[[주판]]은 고대로부터 계산 도구로 사용되어왔다.]]
수학의 각 분야들은 상업에 필요한 계산을 하기 위해, 숫자들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토지를 측량하기 위해, 그리고 [[천문학]]적 사건들을 예견하기 위해 발전되어왔다. 이 네 가지 목적은 대략적으로 수학이 다루는 대상인 양, 구조, 공간 및 변화에 대응되며, 이들을 다루는 수학의 분야를 각각 [[산술]], [[대수학]], [[기하학]], [[해석학 (수학)|해석학]]이라 한다. 또한 이 밖에도 근대 이후에 나타난 [[수학기초론]]과 [[이산수학]] 및 [[응용수학]] 등이 있다.
=== 산술 ===
{{본문|산술}}
산술은 [[자연수]]와 [[정수]] 및 이에 대한 [[사칙연산]]에 대한 연구로서 시작했다. [[수론]]은 이런 주제들을 보다 깊게 다루는 학문으로, 그 결과로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등이 유명하다. 또한 [[쌍둥이 소수 추측]]과 [[골드바흐 추측]] 등을 비롯해 오랜 세월 동안 해결되지 않고 남아있는 문제들도 여럿 있다.
수의 체계가 보다 발전하면서, 정수의 집합을 [[유리수]]의 집합의 [[부분집합]]으로 여기게 되었다. 또한 유리수의 집합은 [[실수]]의 집합의 부분집합이며, 이는 또다시 [[복소수]] 집합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면 [[사원수]]와 [[팔원수]] 등의 개념을 생각할 수도 있다. 이와는 약간 다른 방향으로, 자연수를 무한대까지 세어나간다는 개념을 형식화하여 [[순서수]]의 개념을 얻으며, 집합의 크기 비교를 이용하여 무한대를 다루기 위한 또다른 방법으로는 [[기수 (수학)|기수]]의 개념도 있다.
=== 대수학 ===
{{본문|대수학}}
수 대신 문자를 써서 문제해결을 쉽게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수학적 법칙을 일반적이고 간명하게 나타내는 것을 포함한다. 고전대수학은 대수방정식 및 연립방정식의 해법에서 시작하여 군, 환, 체 등의 추상대수학을 거쳐 현대에 와서는 대수계의 구조를 보는 것을 중심으로 하는 선형대수학으로 전개되었다. 수의 집합이나 함수와 같은 많은 수학적 대상들은 내재적인 구조를 보인다. 이러한 대상들의 구조적 특성들이 [[군론]], [[환론]], [[체론]] 그리고 그 외의 수많은 대수적 구조들을 연구하면서 다루어지며, 그것들 하나하나가 내재적 구조를 지닌 수학적 대상이다. 이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은 벡터, [[벡터 공간]]으로의 일반화, 그리고 [[선형대수학]]에서의 지식들이다. 벡터의 연구에는 [[산술]], [[대수학|대수]], [[기하]]라는 수학의 중요한 세개의 분야가 조합되어 있다. [[벡터 미적분학]]은 여기에 해석학의 영역이 추가된다. 텐서 미적분학은 대칭성과 회전축의 영향 아래에서 벡터의 움직임을 연구한다. 눈금없는 자와 컴퍼스와 관련된 많은 고대의 미해결 문제들이 [[갈루아 이론]]을 사용하여 비로소 해결되었다.
<gallery mode="packed">
Rubik's cube.svg | [[군론]]
Elliptic curve simple.svg | [[수론]]
Group diagram d6.svg | [[그래프 이론]]
Lattice of the divisibility of 60.svg | [[순서론]]
</gallery>
=== 기하학 ===
{{본문|기하학}}
공간에 대한 연구는 [[기하학]]에서 시작되었고, 특히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비롯되었다. [[삼각법]]은 공간과 수들을 결합하였고, 잘 알려진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포함한다. 현대에 와서 공간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개념들은 더 높은 차원의 기하학을 다루기 위해 [[비유클리드 기하학]](상대성이론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함)과 [[위상수학]]으로 일반화되었다. 수론과 공간에 대한 이해는 모두 해석 기하학, [[미분기하학]], [[대수기하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 군]]도 공간과 구조, 변화를 다루는데 사용된다. 위상수학은 20세기 수학의 다양한 지류속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한 분야이며, [[푸앵카레 추측]]과 인간에 의해서 증명되지 못하고 오직 컴퓨터로만 증명된 [[4색정리]]를 포함한다.
<gallery mode="packed">
파일:Torus.jpg | [[위상수학]]
파일:Pythagorean.svg | [[삼각법]]
파일:Hyperbolic triangle.svg | [[미분기하학]]
파일:Koch curve.svg | [[프랙털 기하학]]
</gallery>
=== 해석학 ===
{{본문|해석학 (수학)}}
변화에 대한 이해와 묘사는 [[자연과학]]에 있어서 일반적인 주제이며, [[미적분학]]은 변화를 탐구하는 강력한 도구로서 발전되었다. [[함수]]는 변화하는 양을 묘사함에 있어서 중추적인 개념으로써 떠오르게 된다. 실수와 실변수로 구성된 함수의 엄밀한 탐구가 [[실해석학]]이라는 분야로 알려지게 되었고, [[복소수]]에 대한 이와 같은 탐구 분야는 [[복소해석학]]이라고 한다. [[함수해석학]]은 함수의 공간(특히 무한차원)의 탐구에 주목한다. 함수해석학의 많은 응용분야 중 하나가 [[양자역학]]이다. 많은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양과 그 양의 변화율의 관계로 귀착되고, 이러한 문제들이 [[미분방정식]]으로 다루어진다. 자연의 많은 현상들이 동역학계로 기술될 수 있다. [[혼돈 이론]]은 이러한 예측 불가능한 현상을 탐구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한다.
<gallery mode="packed">
Integral as region under curve.svg | [[미적분학]]
Vector field.svg | [[벡터 미적분학]]
Airflow-Obstructed-Duct.png | [[미분방정식]]
Limitcycle.jpg | [[동역학계]]
Lorenz attractor.svg | [[혼돈 이론]]
</gallery>
=== 수학기초론 관련 분야 ===
{{참고|수학기초론}}
수학의 기초를 확실히 세우기 위해, 수리논리학과 집합론이 발전하였고, 이와 더불어 범주론이 최근에도 발전되고 있다. “근본 위기”라는 말은 대략 1900년에서 1930년 사이에 일어난, 수학의 엄밀한 기초에 대한 탐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말이다. 수학의 엄밀한 기초에 대한 몇 가지 의견 불일치는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다. 수학의 기초에 대한 위기는 그 당시 수많은 논쟁에 의해 촉발되었으며, 그 논쟁에는 칸토어의 집합론과 브라우어-힐베르트 논쟁이 포함되었다.
<gallery mode="packed">
Venn A intersect B.svg | [[집합론]]
Commutative diagram for morphism.svg | [[범주론]]
Modus ponens.png | [[수리논리학]]
</gallery>
=== 이산수학 ===
{{본문|이산수학}}
<gallery mode="packed">
Wheel diagram Heap's algorithm.svg | [[조합론]]
DFAexample.svg | [[계산 이론]]
Caesar3.svg | [[암호학]]
6n-graf.svg | [[그래프 이론]]
</gallery>
=== 응용수학 ===
{{본문|응용수학}}
<gallery mode="packed">
Gravitation space source.png | [[수리물리학]]
BernoullisLawDerivationDiagram.png | [[유체역학]]
Composite trapezoidal rule illustration small.png | [[수치해석학]]
Maximum boxed.png | [[수학적 최적화|최적화 이론]]
Two red dice 01.svg | [[확률론]]
Oldfaithful3.png | [[통계학]]
Market Data Index NYA on 20050726 202628 UTC.png | [[수리금융학|금융수학]]
Arbitrary-gametree-solved.png | [[게임 이론]]
</gallery>
== 영향 ==
오늘날 수학은 [[자연과학]], [[공학]]뿐만 아니라, [[경제학]] 등의 [[사회과학]]에서도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미적분학]]과 [[선형대수학]]은 [[자연과학]]과 [[공학]], [[경제학]]을 하는데에 필수적 과목으로 여겨지며, [[확률론]]은 [[계량경제학]]에 응용된다. [[통계학]]은 [[사회과학]] 이론에 근거를 마련하는데 필수적이다. 16세기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자연이라는 책은 수학이라는 언어로 기록되어 있다."는 주장과 함께 물리학에 수학적 방법을 도입하였고, 17세기에 [[아이작 뉴턴]]이 [[고전 역학]]의 기본 물리학 법칙들을 수학적으로 기술하고 정립하여 물리학 이론에서 수학적 [[모델링]]은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과학적 방법]]이 정립되는 시기이기도 한데, 많은 과학적 현상들이 수학적 관계가 있음이 드러나면서 [[과학적 방법]]에도 수학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유진 위그너]]는 그의 에세이 "The unreasonabl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in natural sciences"에서 인간 세상과 동떨어져있고 현실과 아무 관련이 없다고 여겨지던 수학 중 극히 일부는 뜻밖에도 자연과학과 연관성이 드러나고 과학이론에 효과적인 토대를 마련해 주는데에 대한 놀라움을 표현하였다.<ref>Wigner, E. P. (1960). "The unreasonable effectiveness of mathematics in the natural sciences". Richard Courant lecture in mathematical sciences delivered at New York University, May 11, 1959. Communications o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13: 1–14. Bibcode:1960CPAM...13....1W. doi:10.1002/cpa.3160130102</ref> 예를 들어, [[비유클리드 기하학]]과 3차원 이상의 임의의 차원에서 기하학을 탐구했던 [[미분 기하학]]은 당시에는 현실과 연관성을 가지지 않았으나 먼 훗날 [[일반상대성이론]]이 4차원 기하학을 필요로 함에 따라, 물리적 세상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게이지이론]], [[양자장론]] 등에도 [[미분 기하학]]은 필수적이다.
또한 수학은 [[음악]]이나 [[미술]] 등 예술과도 관련이 있다. [[피타고라스]]는 두 정수의 비율이 듣기 좋은 소리가 난다는 점을 가지고 [[피타고라스 음계]]를 만들었다. 중세시대에도 음악과 수학을 밀접하게 연관시켰으며 성 빅토르의 후고는 “음악은 조화다”라고 했고, 성 트론드의 루돌프는 “음악은 조화의 토대(ratio)다”라고 쓴 바 있다. 조화가 반드시 소리로 표현될 필요는 없고 소리의 음악은 음악의 형식 중 하나에 불과했다. 소리에 대해 다루었던 중세의 저술가들이 있는가 하면, 조화와 비례의 추상적 이론만을 다루고 소리에는 거의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저술가들도 있었다. 청각적인 면과 추상적인 면이라는 음악의 이런 이중적 측면은 고대의 음악이론보다는 중세의 음악이론에서 큰 특징이 되었다.<ref>타타르키비츠 미학사:중세미학, W.타타르키비츠 씀, 손효주 옮김, 미술문화 펴냄</ref> 또한 [[현대 음악]]을 군(群,group)같은 수학적 대상을 이용해 분석하기도 한다. [[원근법]]은 [[사영 기하학]]에 해당한다. 미술 사조 중 하나인 [[입체파]]도 기하학의 영향을 받았다.
== 같이 보기 ==
* [[정수론]]
* [[기하학]]
* [[대수학]]
* [[해석학 (수학)|해석학]]
* [[산학]]
* [[대한민국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목]]
* [[이산수학]]
* [[응용수학]]
* [[수학자]]
* [[과학 석사]]
== 각주 ==
{{각주}}
{{참고 자료 시작}}
* Eves, Howard,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Mathematics'', Sixth Edition, Saunders, 1990, {{ISBN|0-03-029558-0}}.
* Jourdain, Philip E. B., ''The Nature of Mathematics'', in ''The World of Mathematics'', James R. Newman, editor, Dover, 2003, {{ISBN|0-486-43268-8}}.
* Peterson, Ivars, ''Mathematical Tourist, New and Updated Snapshots of Modern Mathematics'', Owl Books, 2001, {{ISBN|0-8050-7159-8}}.</div>
{{참고 자료 끝}}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포털-인라인|수학}}
* [http://www.kms.or.kr 대한수학회(KMS)]
* {{언어링크|en}} [http://mathworld.wolfram.com Mathworld]
* {{언어링크|en}} [http://www-history.mcs.st-and.ac.uk/ The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수학 분야}}
{{전거 통제}}
[[분류:수학| ]]
[[분류:형식과학]]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수학]]'''에서 '''상수'''란 그 값이 변하지 않는 불변량으로, [[변수 (수학)|변수]]의 반대말이다. [[물리 상수]]와는 달리, 수학 상수는 물리적 측정과는 상관없이 정의된다.
수학 상수는 대개 [[실수체]]나 [[복소수체]]의 원소이다. 우리가 이야기할 수 있는 상수는 (거의 대부분 [[계산 가능한 수|계산 가능]]한) [[정의가능한 수]]이다.
특정 수학 상수, 예를 들면 [[골롬-딕맨 상수]], [[프랑세즈-로빈슨 상수]], [[제곱근 2|<math>\sqrt{2}</math>]], [[레비 상수]]와 같은 상수는 다른 수학상수 또는 함수와 약한 상관관계 또는 강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 수학 상수표 ==
{| class="wikitable"
|- style="background: #a0e0a0;"
! 기호
! style="width: 24em;" | 값
! 이름
! style="width: 3.5em;" | 분류
! N
! 알려진 때
! 알려진 소수점 자릿수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1|<math>1</math>]]'''
| 1
| 일 , 하나
| '''[[수학|일반]]'''
| ''[[정수]].''
| 고대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0|<math>0</math>]]'''
| 0
| 영
| '''[[수학|일반]]'''
| ''[[대수적 수]]''
| 고대 BC 500년경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허수 단위|<math>i</math>]]'''
| <math>\sqrt{-1}</math>
| [[허수단위 | 허수 ]]단위 , 아이(<math>i</math>)
| '''[[수학|일반]]'''
| ''[[복소수]]''
| 1500년경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원주율|<math>\pi</math>]]'''
| ≈ 3.14159 26535 89793 23846 26433 83279 50288
| '''원주율'''
| '''[[수학|일반]]'''
| ''[[초월수]]''
| 고대
| 1,241,177,300,0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자연로그의 밑|<math>e</math>]]'''
| ≈ 2.71828 18284 59045 23536 02874 71352 66249
| [[존 네이피어|네이피어]] 수, [[자연로그]]의 밑
| '''[[수학|일반]]'''
| ''[[초월수]]''
| [[1618년]]
| 12,884,901,0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sqrt{2}</math>
| ≈ 1.41421 35623 73095 04880 16887 24209 69807
| [[2의 제곱근]], [[닮음비]]
| '''[[수학|일반]]'''
| ''[[대수적 수]], [[무리수]]''
| 고대
| 137,438,953,444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gamma</math>
| ≈ 0.57721 56649 01532 86060 65120 90082 40243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수학|일반]]''', '''[[수론]]'''
| ?
| [[1735년]]
| 108,000,0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phi</math>
| ≈ 1.61803 39887 49894 84820 45868 34365 63811
| [[황금비]]
| '''[[수학|일반]]''', [[피보나치 수열]]
| ''[[대수적 수]], [[무리수]]''
| 고대
| 3,141,000,0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beta^*</math>
| ≈ 0.70258
| [[엠브리-트레페텐 상수]]
| '''[[수론]]'''
| ?
| ?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delta</math>
| ≈ 4.66920 16091 02990 67185 32038 20466 20161
| [[파이겐바움 상수]]
| '''[[혼돈 이론]]'''
| ?
| [[1975년]]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alpha</math>
| ≈ 2.50290 78750 95892 82228 39028 73218 21578
| [[파이겐바움 상수]]
| '''[[혼돈 이론]]'''
| ?
| ?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C_2</math>
| ≈ 0.66016 18158 46869 57392 78121 10014 55577
| [[쌍둥이 소수 상수]]
| '''[[수론]]'''
| ?
| ?
| 5,02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M_1</math>
| ≈ 0.26149 72128 47642 78375 54268 38608 69585
| [[마이셀-메르텐스 상수|메이쎌-메르텐스 상수]] (Meissel-Mertens constant)
| '''[[수론]]'''
| ?
| [[1866년]]<br />[[1874년]]
| 8,01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B_2</math>
| ≈ 1.90216 05782 4
| 쌍둥이 소수에 대한 [[브룬 상수]] (Brun's constant)
| '''[[수론]]'''
| ?
| [[1919년]]
| 11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B_4</math>
| ≈ 0.87058 83800
| 소수 쿼드러플릿 (prime quadruplet)에 대한 브룬상수 (Brun's constant)
| '''[[수론]]'''
| ?
| ?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Lambda</math>
| – 1.1·10<sup>-12</sup>
| [[드 브루인-뉴먼 상수]] (de Bruijn-Newman constant)
| '''[[수론]]'''
| ?
| [[1950년]]?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G</math>
| ≈ 0.91596 55941 77219 01505 46035 14932 38411
| [[카탈란 상수]] (Catalan's constant)
| '''[[조합론]]'''
| ?
| ?
| 15,510,000,0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K</math>
| ≈ 0.76422 36535 89220 66
| [[란다우-라마누잔 상수]]
| '''[[수론]]'''
| ''[[무리수]]'' (''?'')
| ?
| 30,01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K</math>
| ≈ 1.13198 82487 943
| [[비슈바나트 상수]](Viswanath's constant <sup> '''1''' </sup>)
| '''[[수론]]'''
| ?
| ?
| 13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L</math>
| ≈0.54325 89653 42976 70695 27282 95300 61323
| [[란다우 상수]] (Landau's constant)
| '''[[해석학 (수학)|해석학]]'''
| ?
| ?
| >1,0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B'_L</math>
| ≈ 1.08366
| [[르장드르 상수]] (Legendre's constant)
| '''[[수론]]'''
| ?
| ?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mu</math>
| ≈ 1.45136 92348 83381 05028 39684 85892 027
| [[라마누잔-솔드너 상수]] (Ramanujan-Soldner's constant), 솔드너 상수(Soldner's constant)
| '''[[수론]]'''
| ?
| ?
| 75,500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E_B</math>
| ≈ 1.60669 51524 15291 763
| [[에르되시-보와인 상수|에르되시-보어와인 상수]] (Erdös-Borwein's constant)
| '''[[수론]]'''
| ''[[무리수]]''
| ?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math>\Lambda </math>
| ≈ 1.09868 58055
| [[렝겔 상수]] (Lengyel's Constant)
| '''[[수론]]'''
| ?
| [[1992년]]
| ?
|-
| style="background: #d0f0d0; text-align: center;" |
| ≈ 0.80939 40205
| [[알라디-그린스테드 상수]] (Alladi–Grinstead constant)
| '''[[조합론]]'''
| ?
| ?
| ?
|}
== 관련 상수들 ==
==== [[자연로그의 밑]] 관련 ====
* [[레비 상수]]
* [[라플라스 극한]]
* [[알라디-그린스테드 상수]]
* [[뤼로스 상수]]
==== [[감마함수]] 관련 ====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 [[프랑세즈-로빈슨 상수]]
* [[번스타인 상수]]
* [[아페리 상수]]
* [[시에르핀스키 상수]]
* [[가우스 상수]]
* [[란다우 상수]]
==== [[소수 (수론)|소수]] 관련 ====
* [[브룬 상수]]
* [[밀스 상수]]
* [[골롬-딕맨 상수]]
* [[빽하우스 상수]]
* [[니븐 상수]]
* [[로크스 상수]]
* [[르장드르 상수]]
* [[해프너-사낙크-맥컬리 상수]]
* [[에르되시-보어와인 상수]]
* [[마이셀-메르텐스 상수]]
* [[쌍둥이 소수 상수]]
* [[알틴 상수]]
==== [[리만 제타 함수|리만제타함수]] 관련====
* [[드 브루인-뉴먼 상수]]
* [[글레이셔-킨켈린 상수]]
* [[포터 상수]]
* [[가우스-쿠즈민-비어징 상수]]
* [[킨친 상수]]
==== [[피보나치 수]] 관련 ====
* [[뤼카 수]]
* [[역 피보나치 상수]](Reciprocal Fibonacci constant)
* [[비슈바나트 상수]]
* [[엠브리-트레페텐 상수]]
==== 특정 대수방정식 관련 ====
* [[플라스틱 수]]
* [[콘웨이 상수]]
* [[바르가 상수]](Varga constant)
* [[체비쇼프 상수]]
==기타 상수들==
* [[카앵 상수]](Cahen's constant)
* [[오메가 상수]](Omega constant)
* [[립의 4각 얼음 상수]]
* [[유니버설 파라볼릭 상수]](Universal parabolic constant)
== 같이 보기 ==
* [[함수]]
* [[수학 기호]]
* [[오일러의 곱셈 공식]]
{{수학 상수}}
{{전거 통제}}
[[분류:수학 상수|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다른 뜻}}
{{다른 뜻 넘어옴|문예}}
[[파일:Bibliothèque de l'Assemblée Nationale (Lunon).jpg|섬네일|upright=1.2|파리의 도서관]]
'''문학'''(文學, {{llang|en|literature}})은 [[언어]]를 예술적 표현의 제재로 삼아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여, 인간과 사회를 진실되게 묘사하는 [[예술]]의 하위분야이다.<ref>조남현, 고등학교 문학(상),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3, 12~15쪽.</ref> 간단하게 설명하면, 언어를 통해 인간의 삶을 미적(美的)으로 형상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ref>나병철, 문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1994, 15~17쪽.</ref> 문학은 원래 '''문예'''(文藝)라고 부르는 것이 옳으며, 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서 탐구하는 학문의 명칭 역시 [[문예학]]이다. 문예학은 [[음악사학]], [[미술사학]] 등과 함께 [[예술학]]의 핵심분야로서 [[인문학]]의 하위범주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문학의 정의는 텍스트들의 집합이다. 각각의 국가들은 고유한 문학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이나 [[철학]] 조류, 어떤 특정한 역사적 시대도 마찬가지이다. 흔히 한 국가의 문학을 묶어서 분류한다.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어]], [[성경|성서]], [[베오울프]], [[일리아드]], 그리고 [[미국 헌법]] 등이 그러한 분류의 범주에 들어간다. 좀 더 일반적으로는 문학은 특정한 주제를 가진 이야기, 시, 희곡의 모음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야기, 시, 그리고 희곡은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띨 수도 아닐 수도 있다. 문학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한 아이템을 구분 짓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어떤 사람들에게 "문학"은 어떠한 상징적인 기록의 형태로도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이미지나 [[조각]], 또는 문자로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또다른 사람들에게 있어 문학은 오직 문자로 이루어진 텍스트로 구성된 것만을 포함한다. 좀 더 보수적인 사람들은 그 개념이 꼭 물리적인 형태를 가진 텍스트여야 하고, 대개 그러한 형태는 종이 등의 눈에 보이는 매체에서 디지털 미디어까지 다양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보면, "문학"과 몇몇 인기있는 기록형태의 작업들, 소위 ''대중문학'' 사이에는 인식가능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때 "문학적인 허구성"과 "문학적인 재능"이 종종 개별적인 작품들을 구별하는 데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찰스 디킨즈]]의 작품들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문학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지지만, [[제프리 아처]]의 작품들은 영문학이라는 일반적인 범주 아래 두기에는 다소 가치가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예를 들어 문법과 어법에 서투르거나, 이야기가 혼란스러워 신뢰성을 주지 않거나, 인물들의 성격에 일관성이 없을 경우에도 문학에서 제외될 수 있다. 로맨스, 범죄소설, 과학소설 등의 장르 소설도 때로 "문학"이 아닌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대부분 ''대중문학''의 범주에 포함된다.
== 일반적인 문학의 분류 ==
{{문학}}
문학은 분류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 전달(傳達) 수단이 말인 [[구전문학]](口傳文學)과 문자에 의한 기재문학(記載文學)
# 문체가 틀에 박힌 율문(律文)과 그렇지 않은 산문(散文).
# 내용이 현재형으로서, 주관적 내용인 서정문학(抒情文學), 과거형으로서 객관적 내용인 서사문학(敍事文學), 과거의 사건이 현재형으로 표현되며 동작과 회화에 의한 극문학(劇文學), 서정적과 서사적의 중간에 위치하며 일기·수필·시론(詩論)·비평 등을 가리키는 자조문학(自照文學).
# 문학 활동에서, 자기의 상상을 기초로 하는 창작과 창작된 작품의 가치를 논하는 평론
이 외에도 편의에 따라 발생적으로 대별하기도 한다.
문학은 처음은 유일한 종류, 즉 노래하고, 말하고, 춤춘다는 것이 분화되지 않은 것이었다. 이 춤추는 것을 중심으로 발달한 것이 연극(演劇)이며, 노래하는 것이 발달하여 시(詩), 말하는 것이 발달하여 산문(散文)의 이야기가 되었다. 시는 정형시·자유시·산문시로, 또한 서사시와 서정시로 나뉜다. 산문은 사건을 중심으로 그려진 이야기, 근대 리얼리즘의 수법 이후 인물의 성격을 묘사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 소설이 있다. 이야기나 소설과 같이 특별한 구상에 의하지 않고, 작자의 흥미에 의해서 씌어지는 것이 잡문(雜文) 또는 수필이며, 이것이 날짜에 따라 씌어지는 것이 일기, 여행의 과정에 따라 씌어지는 것이 기행문이다. 일기와 마찬가지로 발표의 의도가 작은 것에 서간(書簡)이 있다. 이 밖에 사건의 경험에 따른 회고록, 사건 등의 특정시(特定時)에 한정되지 않는 자서전, 제삼자에 의해서 씌어지는 전기(傳記)가 있다. 또한 이것들을 포함하는 예술작품의 가치평가를 시도하는 것이 평론(評論)이다.
* [[산문]]
** [[소설]]
** [[동화]]
** [[수필]]
** 기록문학
*** [[전기 (문학)|전기]]
*** [[일기]]
*** [[기행문]]
*** [[실록]]
** 극문학
*** [[희곡]]
*** [[시나리오]]
* [[운문]]
** [[시 (문학)|시]]
** [[부 (문학)|부]]
== 대중문학의 분류 ==
[[대중문학]]이란 상업성을 띠며 대중을 겨냥하여 그들의 통속적인 흥미와 욕구를 채워주는 문학을 말한다. 대중문학의 하위장르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 [[연애소설]]
* [[판타지 소설]]
* [[무협소설]]
* [[공상과학소설]]
* [[추리소설]]
* [[공포 소설]]
* [[인터넷소설]]
* [[만화]]
* [[팬픽]]
* [[팬아트]]
== 문학 사조 ==
* [[바로크]] (Baroque)
* [[고전주의]] (古典主義, Classic)
* [[낭만주의]] (浪漫主義, Romantic)
* [[계몽주의]] (啓蒙主義, Enlightenment)
* [[자연주의 (문학)|자연주의]] (自然主義, Naturalism)
* [[사실주의]] (寫實主義, Realism)
* [[표현주의]] (表現主義, Expressionism)
* [[허무주의]] (虛無主義, Nihilism)
* [[실존주의]] (實存主義, Existentialism)
* [[모더니즘]] (Modernism)
* [[초현실주의]] (超現實主義, Surrealism)
*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
== 문학과 관련된 직업 ==
문학을 창작하는 예술가를 [[작가]]라고 부른다. [[문예학]]을 연구하는 사람을 문예학자라고 부른다. 문학을 창작하는 사람을 따로 저술가라고 한다. 문예학자와 언어학자를 합쳐 어문학자로 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언어와 언어를 사용한 예술인 문학은 차이가 있다.
* [[번역가]]
* [[수필가]]
* [[소설가]]
* [[시인]]
* [[극작가]]
== 세계의 문학 ==
=== 동양문학 ===
* [[한국 문학]]
* [[중국 문학]]
* [[일본 문학]]
* [[인도 문학]]
* [[아랍 문학]]
* [[유대 문학]]
* [[튀르키예 문학]]
* [[이집트 문학]]
=== 서양문학 ===
* [[고대 그리스문학]]
* [[고대 라틴어문학]]
* [[영어 문학]]
** [[영국 문학]]
** [[미국 문학]]
** [[아일랜드 문학]]
** [[오스트레일리아 문학]]
* [[프랑스 문학]]
* [[독일 문학]]
* [[이탈리아 문학]]
* [[스페인 문학]]
* [[러시아 문학]]
* [[스칸디나비아 문학]]
=== 기타 문학 ===
* [[라틴 아메리카 문학]]
* [[아프리카 문학]]
== 문학의 감상 ==
반영론적 관점에 의한 감상은 작품을 창작된 당시 시대 정황과 연결시켜 감상하는 입장이고, 내재적 관점의 감상은 작품의 형식, 내용에 국한하여 감상하는 것이다. 표현론적 관점의 감상은 작가의 전기적 사실과 작품을 연결시켜 감상하는 것이고, 수용론적 관점의 감상은 독자와 작품을 연결시켜 감상하는 것을 말한다.<ref name="강승원">{{서적 인용 |편집자= 강승원 |제목= EBS 수능특강 언어영역|날짜= 2009-01-05 |판= 초판 |출판사= 한국교육방송공사 |쪽= 해설3 }}</ref>
== 같이 보기 ==
{{포털|문학}}
* [[문학자]]
* [[문학상]]
* [[데우스 엑스 마키나]]
== 참고 문헌 ==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제목=[[: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언어I·한국문학·논술/문학 용어/문학의 종류/문학의 종류2|문학의 종류]]|분류=문학}}
== 각주 ==
{{각주}}
== 외부 링크 ==
* {{위키낱말사전-줄|예술}}
* {{위키낱말사전-줄|문학}}
* {{위키책-줄|위키책:문학}}
* {{위키공용분류-줄}}
{{인문학}}
{{전거 통제}}
[[분류:예술|*]]
[[분류:문학|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Palais des Nations unies, à Genève.jpg|섬네일|250px|스위스 제네바에 있는 국제 연합 회원국 및 비회원 GA 옵서버의 국기]]
이 목록에 실린 [[나라|국가]] 기준은 1933년 [[몬테비데오 협약]] 1장을 참고로 하였다. 협정에 따르면, 국가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a) 영속적인 [[국민]]
* (b) 일정한 [[영토]]
* (c) [[정부]]
* (d) 타국과의 관계 참여 자격
특히, 마지막 조건은 국제 공동체의 참여 용인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나라의 승인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ref>"State", 512–3쪽 ''Penguin Dictiona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에반스, 그레이엄 & 뉸햄, 제프리. 1998년. ({{ISBN|0-14-051397-3}}). London: Penguin Books Ltd.</ref> 이 목록에 포함된 모든 국가는 보통 이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보이는 자주적이고 독립적인 국가이다. 하지만 몬테비데오 협약 기준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는 많은 국가가 논쟁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몬테비데오 협약 기준만이 국가 지위의 충분한 자격이든 아니든, 국제법의 견해 차이는 존재할 수 있다. 이 물음에 대한 다른 이론에 대한 고리는 아래에서 볼 수 있다.
==기준==
위 기준에 논거하여 이 목록은 다음 208개 국가를 포함하고 있다.
* 일반 국제 승인을 받은 '''198개''' 자주 국가.
** [[유엔]] [[유엔 가입국|가입 국가]] 193개
** 유엔에서 국제 승인을 받은 2개 국가 : [[바티칸 시국]], [[팔레스타인]]
** 유엔의 가입국이 아니며, 국제 승인을 받지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나라로 통치는 3개 국가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중화민국]], [[코소보]]
* 유엔의 가입국이 아니며, 국제 승인을 받지 않았고 일반적으로 나라로 통치지 않는 '''5개''' 자주 국가.
** 유엔 회원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3개 국가: [[남오세티야]], [[북키프로스]], [[압하지야]]
** 유엔 비회원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은 2개 국가: [[트란스니스트리아]], [[소말릴란드]]
== 국제적으로 승인 받은 국가 ==
{|border="0" cellpadding="0"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5%;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 0px solid #AAAAAA;"
|-
!width=60%|한국어와 국가 공용어 명칭<ref>이 목록에 포함된 국가의 이름은 한국어로 표시되며, 짧은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과 (긴) 공식 한국어 명칭 (예: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나라의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공용어로 된 동일한 명칭도 포함하고 있다. 공용어 명칭의 주요 출처는 [http://www.auswaertiges-amt.de/diplo/de/Infoservice/Terminologie/StaatennamenLandessprache.pdf 독일 외교부] 와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fields/2142.html CIA World Fact Book] {{웨이백|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fields/2142.html |date=20181225082916 }} (2007년 8월 14일 확인)이다. 필요에 따라서 명칭을 [[외국어의 한글 표기|한글]] 표기로 바꾸었으나, 본래의 문자 표기 ([[키릴 문자]]나 [[한자]])도 함께 싣고 있다. 로마자 표기를 선호하는 나라의 경우에는 이를 한글 표기와 함께 실었다. 지도와 명칭, 공용어, 한글 표기에 대한 출처는 각 국가 문서이다. 다른 출처가 사용되었을 경우에는 그 출처를 주석으로 달았다. 나라별 국기는 [[국기 목록]]에서 자세히 볼 수 있다.</ref>
!width=40%|주권 상태와 승인 정보<ref>이 항목은 다음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유엔의 승인과 회원 권한 정도 (출처: 유엔 웹사이트).
* 법률상 국가가 아닌 이유가 나열된다. 자세한 정보는 [[미승인 국가 목록]]에서 찾을 수 있다.
* [[속령|해외 속령]]. 일부 국가는 해외 속령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국가 영토의 일부가 아니다. 자세한 정보는 [[속령]]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
* 해당하는 경우 [[연방|연방 구조]]도 싣는다. 일부 국가는 일정한 [[연방]] 구조를 취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는 [[연방|연방 목록]]에서 찾을 수 있다.
* 국가 영토 내부의 [[나라별 자치 구역 목록|자치 구역]]. 일부 국가는 일정한 자치 구역을 영토의 일부로 점유하고 있다. [[나라별 자치 구역 목록]] 참고.
* [[분쟁 영토]]
* [[망명한 분리 정부]].</ref>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가 ===
|-
|colspan=2|
----
|-
|valign=top|'''{{국기|가나}}''' – 가나 공화국
* [[영어]]: Ghana – Republic of Ghana
<small>가나 - 리퍼블릭 오브 가나</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가봉}}''' – 가봉 공화국
* [[프랑스어]]: Gabon – République Gabonaise
<small>가봉 - 레퓌빌리크 가보네즈</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가이아나}}''' – 가이아나 협동 공화국
* [[영어]]: Guyana – Co-operative Republic of Guyana
<small>가이아나 - 코오퍼러티브 리퍼블릭 오브 가이아나</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감비아}}''' – 감비아 공화국
* [[영어]]: Gambia – Republic of The Gambia
<small>감비아 - 리퍼블릭 오브 더 감비아</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과테말라}}''' – 과테말라 공화국
* [[스페인어]]: Guatemala – República de Guatemala
<small>과테말라 - 레푸블리카 데 과테말라</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그레나다}}'''
* [[영어]]: Grenada
<small>그러네이다</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그레나다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그루지야 [[파일:Flecha tesela.png|15px]] [[#자|조지아]]
|-
|colspan=2|
----
|-
|valign=top|'''{{국기|그리스}}''' – 그리스 공화국
* [[그리스어]]: Ελλάδα – Ελληνική Δημοκρατία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엘라다 - 엘리니케 디모크라티아</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받았다.<ref name=EU /> 그리스는 [[아토스산]]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아토스산은 종교 자치 구역인 [[아토스산 수도원 공화국]]을 형성하고 있는데, 수도원 공동체와 그리스 외무부 장관이 임명한 내정 지도자의 연대로 행정이 이루어지며, 종교상의 사법권은 [[콘스탄티노플의 총대주교|총대주교구]]에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기니}}''' – 기니 공화국
* [[프랑스어]]: Guinée – République de Guinée
<small>기네 - 레퓌블리크 드 기네</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기니비사우}}''' – 기니비사우 공화국
* [[포르투갈어]]: Guiné-Bissau – República da Guiné-Bissau
<small>기네비사우 - 헤푸블리카 다 기네비사우</smal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나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나고르노카라바흐 공화국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나미비아}}''' – 나미비아 공화국
* [[영어]]: Namibia – Republic of Namib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국기|나우루}}''' – 나우루 공화국
* [[나우루어]]: Ripublik Naoero
* [[영어]]: Republic of Nauru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 colspan="2" |
----
|-
|valign=top|'''{{국기|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연방 공화국
* [[영어]]: Nigeria – Federal Republic of Niger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나이지리아는 [[나이지리아의 행정 구역|주와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남수단}}''' – 남수단 공화국
* [[영어]]: South Sudan – Republic of Sud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2011년]] [[7월 9일]] 독립하여,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남아프리카 공화국|이름=남아공}}'''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영어]]: South Africa – Republic of South Africa
* [[아프리칸스어]]: Suid-Afrika – Republiek van Suid-Afrika
* [[코사어]]: Mzantsi Afrika – IRiphabliki yaseMzantsi Afrika
* [[줄루어]]: Ningizimu Afrika – IRiphabliki yaseNingizimu Afrika
* [[은데벨레어]]: Sewula Afrika – IRiphabliki yeSewula Afrika
* [[남소토어]]: Afrika-Borwa – Rephaboliki ya Afrika-Borwa
* [[소토어]]: Afrika Borwa – Rephaboliki ya Afrika Borwa
* [[츠와나어]]: Aforika Borwa – Rephaboliki ya Aforika Borwa
* [[스와티어]]: Ningizimu Afrika – IRiphabhulikhi yeNingizimu Afrika
* [[벤다어]]: Afurika Tshipembe – Riphabuḽiki ya Afurika Tshipembe
* [[총가어]]: Afrika Dzonga – Riphabliki ra Afrika Dzong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남오세티야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남조선 [[파일:Flecha tesela.png|15px]] [[#다|대한민국]]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남한 [[파일:Flecha tesela.png|15px]] [[#다|대한민국]]
|-
|colspan=2|
----
|-
|valign=top|'''{{국기|네덜란드}}''' – 네덜란드 왕국 <!-- Note that the Netherlands is not the sovereign state, the Kingdom is - see [[Kingdom of the Netherlands#The distinction between the Netherlands and "the Kingdom"]]. -->
* [[네덜란드어]]: Nederland – Koninkrijk der Nederlanden
* [[파피아멘토어]]: Hulanda (or Ulanda) - Reino di Hulanda
* [[영어]]: Netherlands - Kingdom of the Netherland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네덜란드 왕국]]은 다섯 국가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국가는 강력한 자치권을 행사한다.
* {{국기|네덜란드}}
* {{국기|아루바}}
* {{국기|카리브 네덜란드}}
* {{국기|신트마르턴}}
* {{국기|퀴라소}}
네덜란드는 법률상으로 왕국의 구성 국가 중 하나의 명칭이다. 네덜란드 왕국 자체는 [[유럽 연합]] 가입 국가이나,<ref name=EU /> 아루바를 포함한 자치령들은 유럽 연합에 속하지 않는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네팔}}''' – 네팔 연방 민주 공화국
* [[네팔어]]: नेपाल – सङ्घीय लोकतान्त्रीक गणतन्त्र नेपाल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노르웨이}}''' – 노르웨이 왕국
* [[노르웨이어]]: Norge – Kongeriket Norg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의 일부 영토이나, [[스발바르 조약]]에 따라서 특별권을 행사한다. 노르웨이는 해외 무인지경 영토인 [[부베섬]]과 [[얀마옌섬]]을 소유하고 있다. 노르웨이가 주장하는 [[표트르 1세섬]]과 [[퀸모드랜드]]의 영유권은 현재 동결하였다.<ref name=ANT>남위 60도 부근의 외부 섬들을 포함한 [[남극 대륙]] 전체는 [[남극 조약]]에 따라서 모든 영유권 주장이 유보된다. 영유권을 주장하는 나라는 아르헨티나, 오스트레일리아, 칠레, 프랑스, 뉴질랜드, 노르웨이, 영국이다. 브라질이 비공식적으로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뉴질랜드}}'''
* [[영어]]: New Zealand
* [[마오리어]]: Aotearo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뉴질랜드는 [[영국 연방 왕국]]으로,<ref name=realm /> 다음 두 자유 연합 국가의 책무를 맡고 있다.
* {{국기|쿡 제도}}. 쿡 제도는 외교 승인을 받았다.<ref>예: 독일 연방 공화국은 [[쿡 제도]]와 외교 관계를 맺었다. 출처: [http://www.auswaertiges-amt.de/diplo/de/Laenderinformationen/Cookinseln/Bilateral.html 독일 외무부], 2007년 8월 14일 확인. 자세한 정보는 [[쿡 제도의 외교]]에서 찾을 수 있다.</ref>
* {{국기|니우에}}. 뉴질랜드가 외교 정사 책임을 맡고 있으나, 2007년 중화인민공화국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ref>[http://www.china.org.cn/english/international/235447.htm 중화인민공화국과 니우에 간의 외교 수립 합동 성명 전문], 중국인터넷정보센터, 2009년 5월 25일 확인.</ref>
다음의 속령 국가를 가지고 있다.
* {{국기|토켈라우}}<ref>토켈라우는 국민 투표를 통해 속령 국가로 남았다. 출처: [http://www.nzherald.co.nz/world/news/article.cfm?c_id=2&objectid=10472094 뉴질랜드 해롤드], 2008년 8월 8일 확인.</ref>
뉴질랜드는 남극 대륙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로스 보호령]]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떠한 국가도 인정하지 않는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니제르}}''' – 니제르 공화국
* [[프랑스어]]: Niger – République du Niger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니카라과}}''' – 니카라과 공화국
* [[스페인어]]: Nicaragua – República de Nicaragu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다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대만 [[파일:Flecha tesela.png|15px]] [[#타|타이완]]
|-
|colspan=2|
----
|-
|valign=top|'''{{국기|대한민국}}'''
* [[한국어]]: 한국 – 대한민국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로를 승인하지 않았다.[[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차지하고 있는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한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덴마크}}''' – 덴마크 왕국
* [[덴마크어]]: Danmark – Kongeriget Danmark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덴마크|덴마크 왕국]]은 한 개의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
* {{국기|페로 제도}} ''(Føroyar/Færøerne)''
|-
|colspan=2|
----
|-
|valign=top|'''{{국기|도미니카}}''' – 도미니카 연방
* [[영어]]: Dominica – Commonwealth of Dominic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도미니카 공화국}}'''
* [[스페인어]]: República Dominican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독일}}''' – 독일 연방 공화국
* [[독일어]]: Deutschland – Bundesrepublik Deutschland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도이칠란트 - 분데스레푸블리크 도이칠란트</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독일은 [[독일의 행정 구역|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동티모르}}''' – 동티모르 민주 공화국
* [[테툼어]]: Timor Lorosa'e – Repúblika Demokrátika Timor Lorosa'e
* [[포르투갈어]]: Timor-Leste – República Democrática de Timor-Lest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라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라오스}}''' – 라오 인민 민주 공화국
* [[라오어]]: ນລາວ – ສາທາລະນະລັດປະຊາທິປະໄຕ ປະຊາຊົນລາວ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라오 – 사탈라나낫 빠사티빠타이 빠삭쏜 라오</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라이베리아}}''' – 라이베리아 공화국
* [[영어]]: Liberia – Republic of Liber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라트비아}}''' – 라트비아 공화국
* [[라트비아어]]: Latvija – Latvijas Republi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러시아}}''' – 러시아 연방
* [[러시아어]]: Россия –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로시야 – 로시스카야 페데라치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러시아는 [[러시아의 행정 구역|러시아 구성체]] (주, 공화국, 자치주, 자치구, 지방, 연방시)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ref>러시아 연방이 진정한 연방인지의 여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ref><br />연방 구성체의 일부는 민족 자치권을 행사하는 공화국이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레바논}}''' – 레바논 공화국
* [[아랍어]]: لبنان – الجمهوريّة اللبنان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루브낸 - 알줌후리야 알루브낸니야</span>
* [[프랑스어]]: République libanais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레소토}}''' – 레소토 왕국
* [[영어]]: Lesotho – Kingdom of Lesotho
* [[소토어]]: Lesotho – Mmuso wa Lesoth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루마니아}}'''
* [[루마니아어]]: Român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룩셈부르크}}''' – 룩셈부르크 대공국
* [[룩셈부르크어]]: Lëtzebuerg – Groussherzogtum Lëtzebuerg
* [[프랑스어]]: Luxembourg – Grand-Duché du Luxembourg
* [[독일어]]: Luxemburg – Großherzogtum Luxemburg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룩셈부르크 - 그로스헤어초크툼 룩셈부르크</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르완다}}''' – 르완다 공화국
* [[키냐르완다어]]: Rwanda – Repubulika y'u Rwanda
* [[프랑스어]]: Rwanda – République du Rwanda
* [[영어]]: Rwanda – Republic of Rwand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리비아}}'''
* [[아랍어]]: ليبيا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 공화국
* [[리투아니아어]]: Lietuva – Lietuvos Respubli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리히텐슈타인}}''' – 리히텐슈타인 공국
* [[독일어]]: Liechtenstein – Fürstentum Liechtenstein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리히텐슈타인 - 퓌르스텐툼 리히텐슈타인</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마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마다가스카르}}''' – 마다가스카르 공화국
* [[마다가스카르어]]: Madagasikara – Repoblikan'i Madagasikara
* [[프랑스어]]: Madagascar – République de Madagascar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마다가스카르는 프랑스의 영토인 [[글로리오소 제도]]와 [[주안 드 노바]]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마셜 제도}}''' – 마셜 제도 공화국
* [[마셜어]]: Aorōkin M̧ajeļ – Aolepān Aorōkin M̧ajeļ
* [[영어]]: Marshall Islands – Republic of the Marshall Island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으로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마셜 제도는 미국의 영토인 [[웨이크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말라위}}''' – 말라위 공화국
* [[영어]]: Malawi – Republic of Malawi
* [[치체와어]]: Malaŵi – Mfuko la Malaŵ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말레이시아}}'''
* [[말레이어]]: Malays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말레이시아는 [[말레이시아의 행정 구역|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말레이시아는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Spratly/> 망명 분리주의 정부는 [[사라왁 주|사라왁 공화국]]과 [[사바 주|북보르네오 공화국]]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말리}}''' – 말리 공화국
* [[프랑스어]]: Mali – République du Mal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멕시코}}''' – 멕시코 합중국
* [[스페인어]]: México – Estados Unidos Mexicano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멕시코는 [[멕시코의 행정 구역|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모나코}}''' – 모나코 공국
* [[프랑스어]]: Monaco – Principauté de Monaco
* [[모나코어]]: Múnegu – Principatu de Múnegu
* [[이탈리아어]]: Monaco - Principato di Monac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모로코}}''' – 모로코 왕국
* [[아랍어]]: المغرب – المملكة المغرب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마그리브 - 알마믈라카 알마그리비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모로코는 [[서사하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대부분의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Annex|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과 분쟁하고 있다. 모로코는 [[#S|스페인]]의 영토인 [[세우타]], [[알보란섬]], [[페레질섬]], [[차파리나스섬]], [[멜리야]], [[페논 데 알우세마스]]로 스페인과 분쟁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모리셔스}}''' – 모리셔스 공화국
* [[영어]]: Mauritius – Republic of Mauritiu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모리셔스는 자치 구역인 [[로드리게스섬]]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모리셔스는 [[영국령 인도양 지역]]과 프랑스의 영토인 [[트로믈랭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모리타니}}''' – 모리타니 이슬람 공화국
* [[아랍어]]: موريتانيا – الجمهورية الإسلامية الموريتان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무리타니야 - 줌후리야 알이슬라미야 알무리타니야</span>
* [[프랑스어]]: Mauritanie – République Islamique de la Mauritani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모잠비크}}''' – 모잠비크 공화국
* [[포르투갈어]]: Moçambique – República de Moçambiqu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어]]: Црна Гора – Црна Гора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츠르나고라 - 츠르나고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몰도바}}''' – 몰도바 공화국
* [[몰도바어]]<ref>[[몰도바어]]는 루마니아어와 같은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몰도바어]] 참고.</ref>: Moldova – Republica Moldov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T|트란스니스트리아]]는 사실상 독립 국가이지만 법률상 몰도바의 영토이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몰디브}}''' – 몰디브 공화국
* [[디베히어]]: ގުޖޭއްރާ ޔާއްރިހޫމްޖު – ހިވެދި ގުޖޭއްރާ ޔާއްރިހޫމްޖ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디베히 라제이 - 디베히 라제이 제 줌후리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몰타}}''' – 몰타 공화국
* [[몰타어]]: Malta – Repubblika ta' Malta
* [[영어]]: Malta – Republic of Malt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몽골}}''' - 몽골국
* [[몽골어]]: Монгол Улс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몽골 울스</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미국}}''' - 아메리카 합중국
*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미국은 [[미국의 행정 구역|주, 연방구, 해외 영토]]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미국은 다음의 해외 영토와 연방 국가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국기|아메리칸사모아}}
* {{국기|괌}}
* {{국기|북마리아나 제도}}
* {{국기|푸에르토리코}}
* {{국기|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이외에도 태평양과 카리브해에 위치한 미국령 군소 제도에 속한 무인도 [[베이커섬]], [[하울랜드섬]], [[자비스섬]], [[존스턴섬]], [[킹맨섬]], [[미드웨이섬]], [[페트렐섬]]([[콜롬비아]], [[자메이카]]와 분쟁), [[세라닐라섬]]([[콜롬비아]]와 분쟁), [[웨이크섬]]([[마셜 제도]]와 분쟁), [[나바사섬]]([[아이티]]와 분쟁)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ref name=dis /> 미국은 [[쿠바]]의 영토인 [[관타나모만]]에 위치한 [[관타나모만 해군기지]]를 (영유권 주장 없이) 관할 영토로 가지고 있으며, 협정에 따라 쿠바에게 임차료를 지급하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미얀마}}''' – 미얀마 연방 공화국
* [[버마어]]: <span style="font-family: Myanmar1;">မြန်မာပြည်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span>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먄마 – 피다웅주 탄만다 먄마 나잉강도</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미크로네시아 연방|이름=미크로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영어]]: Micronesia –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미국]]과의 [[자유연합협정]]으로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미크로네시아는 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바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바누아투}}''' – 바누아투 공화국
* [[비슬라마]]: Vanuatu – Ripablik blong Vanuatu
* [[영어]]: Vanuatu – Republic of Vanuatu
* [[프랑스어]]: Vanuatu – République du Vanuatu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바레인}}''' – 바레인 왕국
* [[아랍어]]: البحرين – مملكة البحرين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바레인 - 맘라캇 알바레인</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바베이도스}}'''
* [[영어]]: Barbado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베이도스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바티칸 시국|이름=바티칸}}''' – 바티칸 시국
* [[라틴어]]: Civitas Vaticana – Status Civitatis Vaticanæ
* [[이탈리아어]]: Città del Vaticano – Stato della Città del Vatican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옵서버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티칸 시국]]은 유엔에서 [[성좌 (가톨릭)|성좌]]라는 명칭으로 활동 중이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바하마}}''' – 바하마 연방
* [[영어]]: The Bahamas – Commonwealth of The Bahama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바하마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 인민 공화국
* [[벵골어]]: বাংলাদেশ – গণপ্রজাতন্ত্রী বাংলাদেশ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방라데시 - 고노프로자톤트리 방라데시</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버마 [[파일:Flecha tesela.png|15px]] [[#마|미얀마]]
|-
|colspan=2|
----
|-
|valign=top|'''{{국기|베냉}}''' – 베냉 공화국<ref>베냉의 공식 명칭은 1975년까지는 [[다호메이 공화국]]이었다.</ref>
* [[프랑스어]]: Bénin – République du Béni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공화국
* [[스페인어]]: Venezuela – República Bolivariana de Venezuel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베네수엘라는 주, 연방령, 연방구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베트남}}''' –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 [[베트남어]]: Việt Nam – Cộng hòa Xã hội Chủ nghĩa Việt Nam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비엣남 - 꽁호아싸호이쭈응이어비엣남</span>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베트남은 [[파라셀 제도]]와<ref name=Paracel/> [[스프래틀리 군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Spratly/>
|-
|colspan=2|
----
|-
|valign=top|'''{{국기|벨기에}}''' – 벨기에 왕국
* [[네덜란드어]]: België – Koninkrijk België
* [[프랑스어]]: Belgique – Royaume de Belgique
* [[독일어]]: Belgien – Königreich Belgien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벨기엔 - 쾨니히라이히 벨기엔</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벨기에는 [[벨기에의 행정 구역|언어 공동체와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벨라루스}}''' – 벨라루스 공화국
* [[벨라루스어]]: Беларусь – Рэспубліка Беларусь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벨라루시 - 레스푸블리카 벨라루시</span>
* [[러시아어]]: Беларусь – Республика Беларусь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벨라루시 - 레스푸블리카 벨라루시</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벨리즈}}'''
* [[영어]]: Beliz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벨리즈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어]]와 [[크로아티아어]]: Bosna i Hercegovina
* [[세르비아어]]: Босна и Херцеговина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과 [[스릅스카 공화국]], 이전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맺은 [[데이턴 협정]]의 결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두 개의 최고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있다.<ref>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분리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데이턴 협정 문서와 [http://www.ohr.int/dpa/default.asp?content_id=380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평화를 위한 일반 구조 협약] {{웨이백|url=http://www.ohr.int/dpa/default.asp?content_id=380 |date=20150604163946 }}에서 찾을 수 있다.</ref>
* {{국기|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 {{국기|스릅스카 공화국}}
|-
|colspan=2|
----
|-
|valign=top|'''{{국기|보츠와나}}''' – 보츠와나 공화국
* [[츠와나어]]: Botswana – Lefatshe la Botswana
* [[영어]]: Botswana – Republic of Botswan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볼리비아}}''' – 볼리비아 다민족국
* [[스페인어]]: Bolivia – Estado Plurinacional de Bolivia
* [[아이마라어]]: Wuliwya – Wuliwya Suyu
* [[과라니어]]: Volivia – Tetã Volívia
* [[케추아어]]: Bulibiya – Bulibiya Mama Llaqt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부룬디}}''' – 부룬디 공화국
* [[키룬디어]]: Uburundi – Republika y'Uburundi
* [[프랑스어]]: Burundi – République du Burund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부르키나파소}}''' – 부르키나파소<ref>1984년까지의 공식 명칭은 [[오트볼타]]였다.</ref>
* [[프랑스어]]: Burkina Fas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부탄}}''' – 부탄 왕국
* [[종카어]]: འབྲུག་རྒྱལ་ཁབ་ - འབྲུག་ཡུལ་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추얄캅 - 추위</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북마케도니아}}''' –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 [[마케도니아어]]: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 세베르나 마케도니아 - 레푸블리카 세베르나 마케도니야</span>
* [[알바니아어]]: Maqedonia e Veriut – Republika e Maqedonisë së Veriut:<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 마체도니아 에 베리우트 - 레푸블리카 에 마체도니서 서 베리우트</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북조선 [[파일:Flecha tesela.png|15px]] [[#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북한 [[파일:Flecha tesela.png|15px]] [[#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북키프로스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불가리아}}''' – 불가리아 공화국
* [[불가리아어]]: България – Република България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벌가리야 - 레푸블리카 벌가리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브라질}}''' – 브라질 연방 공화국
* [[포르투갈어]]: Brasil – República Federativa do Brasi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브라질은 [[브라질의 주|26개 주와 하나의 연방구]]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브루나이}}''' – 브루나이 다루살람국
* [[말레이어]]: Negara Brunei Darussalam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브루네이 - 느가라 브루네이 다루살람</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브루나이는 [[스프래틀리 군도]] 일부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Spratly/>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사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사모아}}''' – 사모아 독립국
* [[사모아어]]: Sāmoa – Mālo Tuto'atasi o Sāmoa
* [[영어]]: Samoa – Independent State of Samo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사우디아라비아}}''' – 사우디아라비아 왕국
* [[아랍어]]: السعودية – المملكة العربيّة السّعود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아사우디야 – 알맘라카 알아라비야 아사우디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산마리노}}''' – 산마리노 공화국
* [[이탈리아어]]: San Marino – Repubblica di San Marin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상투메 프린시페}}''' – 상투메 프린시페 민주 공화국
* [[포르투갈어]]: São Tomé e Príncipe – República Democrática de São Tomé e Príncip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상투메 프린시페는 자치 구역인 [[프린시페섬]]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세네갈}}''' – 세네갈 공화국
* [[프랑스어]]: Sénégal – République du Sénéga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세르비아}}''' – 세르비아 공화국
* [[세르비아어]]: Србија, Srbija – Република Србија, Republika Srbija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스르비야 – 레푸블리카 스르비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르비아는 두 자치주를 소유한 것으로 정하고 있으나,<ref name=autonomous/> 사실상 코소보 지역의 대부분은 정식 승인을 받지 않은 코소보 공화국이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코소보|코소보 메토히야]]
* {{국기|보이보디나}}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세이셸}}''' – 세이셸 공화국
* [[영어]]: Seychelles – Republic of Seychelles
* [[프랑스어]]: Seychelles – République des Seychelles
* [[크레올어]]: Sesel – Repiblik Sesel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이셸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과 프랑스의 [[글로리오소 제도]]와 [[트로믈랭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세인트루시아}}'''
* [[영어]]: Saint Luc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루시아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영어]]: 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은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세인트키츠 네비스}}''' – 세인트키츠 네비스 연방
* [[영어]]: Saint Kitts and Nevis – Federation of Saint Christopher and Nevi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세인트키츠 네비스는 [[영국 연방 왕국]]이자<ref name=realm /> 제도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colspan=2|
----
|-
|valign=top|'''{{국기|소말리아}}''' – 소말리아 연방 공화국
* [[소말리아어]]: Soomaaliya – Jamhuuriyadda Federaalka Soomaaliya
* [[아랍어]]: الصومال – جمهورية الصومال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아수말 - 줌후리얏 아수말</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소말리아는 현재 [[과도 연방 정부]]로 해체되었다. [[소말릴란드]]는 사실상 내부에 있는 국가이나, 법률상 소말리아의 영토이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소말릴란드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솔로몬 제도}}'''
* [[영어]]: Solomon Island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솔로몬 제도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수단}}''' – 수단 공화국
* [[아랍어]]: السودان – جمهورية السودان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아수단 - 줌후리얏 아수단</span>
* [[영어]]:Sudan – Republic of the Sud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수단은 [[수단의 행정 구역|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과거 남수단 주였던 자치 구역 [[남수단]]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수리남}}''' – 수리남 공화국
* [[네덜란드어]]: Suriname – Republiek Surinam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스리랑카}}''' – 스리랑카 민주 사회주의 공화국
* [[싱할라어]]: ශ්රී ලංකාව – [[파일:Sri Lanka in Sinhala.svg|300px]]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스리랑카 - 스리랑카 프라자탄트리카 사마자바디 자나라자야</span>
* [[타밀어]]: இலங்கை – இலங்கை ஜனநாயக சமத்துவ குடியரசு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일랑카이 – 일랑카이 차나나야카 초살리사 쿠디야라스</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스와질란드 [[파일:Flecha tesela.png|15px]] [[#아|에스와티니]]
|-
|colspan=2|
----
|-
|valign=top|'''{{국기|스웨덴}}''' – 스웨덴 왕국
* [[스웨덴어]]: Sverige – Konungariket Sverig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스위스}}''' – 스위스 연방
* [[독일어]]: Schweiz – Schweizerische Eidgenossenschaft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슈바이츠 - 슈바이쳐리셰 아이트게노센샤프트</span>
* [[프랑스어]]: Suisse – Confédération Suisse
* [[이탈리아어]]: Svizzera – Confederazione Svizzera
* [[로만슈어]]: Svizra – Confederaziun Svizra
* [[라틴어]]: Confoederatio Helvetic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스위스는 [[스위스의 주|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스페인}}''' – 스페인 왕국
* [[스페인어]]: España – Reino de Españ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스페인은 [[스페인의 자치 지방|자치 지방과 도시]]로 나뉘어 있다. 스페인은 [[모로코]]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세우타]], [[알보란섬]], [[페레질섬]], [[차파리나스섬]], [[멜리야]], [[페논 데 알우세마스]]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포르투갈]]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올리벤사]], [[탈리가]]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스페인은 [[지브롤터]]의 영유권으로 [[영국]]과 분쟁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 공화국
* [[슬로바키아어]]: Slovensko – Slovenská republi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 공화국
* [[슬로베니아어]]: Slovenija – Republika Slovenij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시리아}}'''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아랍어]]: سورية –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سّور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수리야 - 알줌후리야 알아라비야 아수리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골란고원]]은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다. 시리아는 [[하타이 주]]의 영유권을 놓고 [[터키]]와 분쟁을 벌이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시에라리온}}''' – 시에라리온 공화국
* [[영어]]: Sierra Leone – Republic of Sierra Leon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싱가포르}}''' – 싱가포르 공화국
* [[영어]]: Singapore – Republic of Singapore
* [[말레이어]]: Singapura – Republik Singapura
* [[중국어]]: 新加坡 – 新加坡共和国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싱자포 – 싱자포 궁허궈</span>
*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 சிங்கப்பூர் குடியரசு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싱카푸르 – 싱카푸르 쿠디야라수</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아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랍에미리트}}''' – 아랍 토후국 연방
* [[아랍어]]: دولة الإمارات العربيّة المتّحد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다울라트 알이마라트 알아라비야 알무타히다</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랍에미리트 연방은 [[아랍에미리트의 행정 구역|에미리트]]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 공화국
* [[아르메니아어]]: Հայաստան –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ուն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하야스탄 - 하야스타니 한라페투티윤</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르메니아는 유엔 가입 국가 [[파키스탄]]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이것은 파키스탄이 [[나고르노카라바흐]] 갈등에서 [[아제르바이잔]]을 지지하고, 아르메니아가 [[인도]]에게 [[카슈미르]]의 영유권을 승인하였기 때문이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 공화국<ref>[[아르헨티나]]는 법률상에서 "아르헨티나 국가"라는 명칭을 사용한다.</ref>
* [[스페인어]]: Argentina – República Argentin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르헨티나는 [[아르헨티나의 행정 구역|주와 하나의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일정한 [[연방]] 구조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연방|연방 목록]]에서 찾을 수 있다.</ref>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해외 영토인 [[포클랜드 제도]]와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dis">영토 분쟁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영토 분쟁 목록]]과 [[영토 분쟁]]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ref>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아이보리코스트 [[파일:Flecha tesela.png|15px]] [[#카|코트디부아르]]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 공화국
* [[아이슬란드어]]: Ísland – Lýðveldið Ísland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이티}}''' – 아이티 공화국
* [[프랑스어]]: Haïti – République d'Haïti
* [[아이티 크레올어]]: Ayiti – Repiblik dAyit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이티는 미국이 점유한 무인도인 [[나바사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일랜드}}''' - 아일랜드 공화국(에이레 공화국)
* [[아일랜드어]]: Éire
* [[영어]]: Ireland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 공화국
* [[아제르바이잔어]]: Azərbaycan – Azərbaycan Respublikası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아제르바이잔은 자치 공화국인 [[나히체반]]과 자치 구역인 나고르노 카라바흐 (''Dağlıq Qarabağ'')를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나고르노 카라바흐는 법으로 국가이지만 실제로는 아제르바이잔의 주로 확정되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아프가니스탄}}'''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파슈토어]]: د افغانستان اسلامي جمهوریت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다 아프가니스탄 이슬라미 좀호리얏</span>
* [[다리어]]/[[페르시아어]]: افغانستان – جمهوری اسلامی افغانستان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아프가니스탄 – 좀후리예 이슬라미예 아프가니스탄</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안도라}}''' – 안도라 공국
* [[카탈루냐어]]: Andorra – Principat d’Andorr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알바니아}}''' – 알바니아 공화국
* [[알바니아어]]: Shqipëria – Republika e Shqipëris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알제리}}''' – 알제리 인민 민주 공화국
* [[아랍어]]: الجزائر – الجمهورية الجزائرية الديمقراطية الشعب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자자이르 - 알줌후리야 알자자이리야 아드디무크라티야 아스샤비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압하지야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앙골라}}''' – 앙골라 공화국
* [[포르투갈어]]: Angola – República de Angol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추방된 분리주의 정부가 [[카빈다주]]의 독립을 요구하고 있다.<ref name=Sep>분리주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분리 독립 운동 목록]]과 [[분리주의]] 문서에서 찾을 수 있다.</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앤티가 바부다}}''' – 앤티가 바부다
* [[영어]]: Antigua and Barbud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앤티가 바부다는 [[영국 연방 왕국]]으로,<ref name=realm>[[영국 연방 왕국]]은 [[영국 연방]]의 가입 국가로 [[엘리자베스 2세]]를 군주로 하고 있다. 이 왕국들은 주권 국가이다. [[영국 연방 왕국#왕국의 주권|영국 연방 왕국]] 참조.</ref> 행정 구역 (속령)인 [[바부다섬|바부다]]는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다.<ref name="autonomous">높은 수준의 자치권 분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나라별 자치 구역 목록]]에서 찾을 수 있다.</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에리트레아}}''' – 에리트레아국
* [[티그리냐어]]: ኤርትራ – ሃግሬ ኤርትራ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에르트라 - 하게레 에르트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에스와티니}}''' – 에스와티니 왕국
* [[영어]]: Eswatini – Kingdom of Eswatini
* [[스와티어]]: eSwatini – Umbuso weSwatin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에스토니아}}''' – 에스토니아 공화국
* [[에스토니아어]]: Eesti – Eesti Vabariik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에스파냐 [[파일:Flecha tesela.png|15px]] [[#사|스페인]]
|-
|colspan=2|
----
|-
|valign=top|'''{{국기|에콰도르}}''' – 에콰도르 공화국
* [[스페인어]]: Ecuador – República del Ecuador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에티오피아}}''' – 에티오피아 연방 민주 공화국
* [[암하라어]]: ኢትዮጵያ – የኢትዮጵያ ፈደራላዊ ዲሞክራሲያዊ ሪፐብሊክ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이티오피야 - 이티오피야 페데랄라위 디모크라시야위 리페블리크</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에티오피아는 [[에티오피아의 행정 구역|주와 특별시]]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엘살바도르}}''' – 엘살바도르 공화국
* [[스페인어]]: El Salvador – República de El Salvador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영국}}''' –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 왕국<ref>긴 공식 영어 명칭의 비공식 직역일 뿐, 공식 한국어 명칭으로는 짧은 형태인 '영국'만이 쓰인다. 대한민국과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국가 중 원어로 긴 공식 명칭이 있음에도 한국어로는 긴 공식 명칭을 쓰지 않는 국가는 영국이 유일하다. [http://www.mofa.go.kr/countries/europe/countries/20110810/1_23091.jsp?menu=m_40_50_20 여기] {{웨이백|url=http://www.mofa.go.kr/countries/europe/countries/20110810/1_23091.jsp?menu=m_40_50_20 |date=20160820213906 }}에서 영국과 기타 국가들을 비교해볼 것.</ref>
* [[영어]]: United Kingdom –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영국은 [[영국의 행정 구역|네 지역]]으로 나뉜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영국은 다음의 해외 영토를 가지고 있다.
* {{국기그림|영국}}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국기|앵귈라}}
* {{국기|버뮤다}}
* {{국기|영국령 인도양 지역}} ([[모리셔스]], [[세이셸]]과 분쟁)<ref name=dis />
* {{국기|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국기|케이맨 제도}}
* {{국기|포클랜드 제도}} (아르헨티나와 분쟁)<ref name=dis />
* {{국기|지브롤터}} (스페인과 분쟁)<ref name=dis />
* {{국기|몬트세랫}}
* {{국기|핏케언 제도}}
* {{국기|세인트헬레나}} (속령은 {{국기|어센션섬}}과 {{국기|트리스탄다쿠냐 제도}})
* {{국기|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아르헨티나와 분쟁)<ref name=dis />
* {{국기|터크스 케이커스 제도}}<ref name=dis />
* {{국기|영국령 남극 지역}}(어떠한 국가도 영국의 남극지역 영유권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영국 왕실은 다음 행정 구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국기|건지섬}}
** {{국기|올더니섬}}
** {{국기|험섬}}
** {{국기|사크섬}}
* {{국기|맨섬}}
* {{국기|저지섬}}
|-
|colspan=2|
----
|-
|valign=top|'''{{국기|예멘}}''' – 예멘 공화국
* [[아랍어]]: اليمن – الجمهوريّة اليمن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야만 - 알줌후리야 알야마니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오만}}''' – 오만 술탄국
* [[아랍어]]: عُمان – سلطنة عُمان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우만 – 술타나트 우만</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 [[영어]]: Australia – Commonwealth of Austral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영국 연방 왕국]]이자<ref name=realm /> [[오스트레일리아의 주와 준주|주와 준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오스트레일리아는 다음 영토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국기|크리스마스섬}}
* {{국기|코코스 제도}}
* {{국기|노퍽섬}}
*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 [[산호해 제도]]
* [[허드 맥도널드 제도]]
오스트레일리아는 [[남극 대륙]]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떠한 나라도 오스트레일리아의 남극지역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
|colspan=2|
----
|-
|valign=top|'''{{국기|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공화국
* [[독일어]]: Österreich – Republik Österreich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외스터라이히 - 레푸블리크 외스터라이히</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유럽 연합]]의 가입 국가는 국가 권력 작용인 입법권, 사법권, 행정권을 EU 기관으로 이양한다.</ref> 오스트리아는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연방국 (Bundesländer)]]로 나뉜 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온두라스}}''' – 온두라스 공화국
* [[스페인어]]: Honduras – República de Hondura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요르단}}''' – 요르단 하심 왕국
* [[아랍어]]: الاردن – المملكة الأردنّيّة الهاشم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우르둔 - 알맘라카 알우르두니야 알하시미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우간다}}''' – 우간다 공화국
* [[영어]]: Uganda – Republic of Uganda
* [[스와힐리어]]: Uganda – Jamhuri ya Ugand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우루과이}}''' – 우루과이 동방 공화국
* [[스페인어]]: Uruguay – República Oriental del Uruguay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 [[우즈베크어]]: O'zbekiston - O'zbekiston Respublikasi/Ўзбекистон – Ўзбекистон Республикаси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오즈베키스톤 – 오즈베키스톤 레스푸블리카시</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우즈베키스탄은 자치 공화국인 {{국기|카라칼파크스탄}}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어]]: Україна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우크라이나</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이라크}}''' – 이라크 공화국
* [[아랍어]]: العراق – جمهورية العراق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이라크 - 줌후리야 알이라크</span>
* [[쿠르드어]]: عێراق – كۆماری عێراق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이라크 - 코마라 이라케</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라크의 헌법에는 국가를 구와 주, 수도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로 표시하고 있다.<ref name=federal /><ref>출처: [http://portal.unesco.org/ci/en/files/20704/11332732681iraqi_constitution_en.pdf/iraqi_constitution_en.pdf Iraqi constitution] {{웹아카이브|url=http://arquivo.pt/wayback/20160518175432/http://portal.unesco.org/ci/en/files/20704/11332732681iraqi_constitution_en.pdf/iraqi_constitution_en.pdf |날짜=2016-05-18 }}</ref> 현재 남아있는 유일한 구는 [[쿠르드 자치구]]이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이란}}''' – 이란 이슬람 공화국
* [[페르시아어]]: ایران –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이란 – 좀후리예 에슬라미예 이란</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주와 준주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이스라엘}}''' – 이스라엘국
* [[히브리어]]: ישראל – מדינת ישראל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이스라엘 - 메디나트 이스라엘</span>
* [[아랍어]]: اسرائيل – دولة اسرائيل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이스라엘 - 다울라트 이스라엘</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이스라엘은 현재 20개 나라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이스라엘의 외교]] 참고.</ref> 이스라엘은 [[동예루살렘]]과 [[골란고원]], [[요르단강 서안 지구]] 일부를 점유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이 지역을 이스라엘의 영토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ref name=dis /> 이스라엘은 철수 계획에 따라서 더 이상 [[가자 지구]]에 군사를 주둔시키지 않지만 국제법을 통한 무력 공습이 일어나고 있어서 논쟁이 되고 있다.<ref>[http://news.bbc.co.uk/newswatch/ukfs/hi/newsid_6040000/newsid_6044000/6044090.stm#gaza%20strip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중요 용어] {{웨이백|url=http://news.bbc.co.uk/newswatch/ukfs/hi/newsid_6040000/newsid_6044000/6044090.stm#gaza%20strip |date=20091022080316 }}, BBC 뉴스워치, 2009년 4월 8일 확인.</ref><ref name="Gold">도어 골드, [http://www.jcpa.org/brief/brief005-3.htm JCPA 법률 곡예: 팔레스타인 사람이 가자 지구가 이스라엘 철수 이후에도 여전히 "점령"되었다고 주장하다] {{웨이백|url=http://www.jcpa.org/brief/brief005-3.htm|date=20100621082606}}, [[예루살렘 공공 센터]], Vol. 5, No. 3, 2005년 8월 26일.</ref><ref>[http://www.jcpa.org/JCPA/Templates/ShowPage.asp?DRIT=1&DBID=1&LNGID=1&TMID=111&FID=443&PID=0&IID=2021&TTL=International_Law_and_Gaza:_The_Assault_on_Israel’s_Right_to_Self-Defense 국제법과 가자 지구: 이스라엘의 자기 방어 권리 강습] {{웨이백|url=http://www.jcpa.org/JCPA/Templates/ShowPage.asp?DRIT=1&DBID=1&LNGID=1&TMID=111&FID=443&PID=0&IID=2021&TTL=International_Law_and_Gaza%3A_The_Assault_on_Israel%E2%80%99s_Right_to_Self-Defense|date=20120306092456}}, [[예루살렘 공공 센터]], Vol. 7, No. 29, 2008년 1월 28일.</ref><ref>[http://www.mfa.gov.il/MFA/Government/Speeches+by+Israeli+leaders/2008/Address+by+FM+Livni+to+the+8th+Herzliya+Conference+22-Jan-2008.htm?DisplayMode=print 이스라엘 외무부 장관 리브니의 제8회 헬즈리야 회의 이스라엘 MFA 연설], [[외무부 (이스라엘)]], 2008년 1월 22일.</ref><ref>[http://www.law.virginia.edu/html/news/2005_fall/gaza.htm 가자 지구 점령 상태 반대 토론자] {{웨이백|url=http://www.law.virginia.edu/html/news/2005_fall/gaza.htm |date=20160303200844 }}, [[버지니아 대학교 법학 대학원]], 2005년 11월 17일.</ref><ref>[http://hrw.org/english/docs/2004/10/29/isrlpa9577.htm "이스라엘: '병력 분리'는 가자 점령을 끝내지 않는다."] {{웨이백|url=http://hrw.org/english/docs/2004/10/29/isrlpa9577.htm |date=20080422220335 }} 휴먼 라이츠 워치. 2004년 10월 29일.</ref>
<!--Since Palestine is not generally recognized as part of Israel, it is listed as a separate item and not as a sub-item of the latter.-->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이집트}}''' – 이집트 아랍 공화국
* [[아랍어]]: مصر – جمهوريّة مصرالعرب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미스르 - 줌후리얏 미스르 알아라비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이탈리아}}''' – 이탈리아 공화국
* [[이탈리아어]]: Italia – Repubblica Italian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이탈리아는 자치 구역인 [[아오스타 밸리]],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사르데냐]], [[시칠리아]], [[트렌티노알토 아디제/수드티롤]]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인도}}''' – 인도 공화국
* [[힌디어]]: भारत – भारत गणराज्य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바라트 - 바라트 가나라자</span>
* [[영어]]: India – Republic of Ind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인도는 [[인도의 행정 구역|주와 연방 지역]]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인도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아루나찰프라데시 주]]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ref name=dis /> 인도는 [[잠무 카슈미르]]의 [[영유권]]을 주장하며 일부 지역을 지배하고 있다.<ref name="Kashmir">[[인도]]와 [[파키스탄]]은 [[카슈미르]]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과 [[중화민국]]) 또한 일부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사실상 카슈미르는 인도와 파키스탄, 중국으로 나뉘어 있다. [[영토 분쟁 목록]] 참조.</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 공화국
* [[인도네시아어]]: Indonesia – Republik Indonesia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인도네시아 - 레푸블릭 인도네시아</span>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인도네시아는 특별히 구분되는 네 개의 주로 [[아체]], [[욕야카르타]], [[파푸아 주|파푸아]], [[자카르타]]를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망명 분리주의 정부는 [[남몰루카 공화국]]과 [[서파푸아 공화국]], 아체 주의 독립을 주장하고 있다.<ref>[[분리 독립 운동 목록]] 참조.</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일본}}''' – 일본국
* [[일본어]]: 日本 – 日本国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니혼/닙폰 - 니홍코쿠/닙퐁코쿠</span><ref>자세한 정보는 [[일본의 명칭]] 참고.</ref>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자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자메이카}}'''
* [[영어]]: Jamaic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자메이카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잠비아}}''' – 잠비아 공화국
* [[영어]]: Zambia – Republic of Zamb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적도 기니}}''' – 적도 기니 공화국
* [[스페인어]]: Guinea Ecuatorial – República de Guinea Ecuatorial
* [[프랑스어]]: Guinée Équatoriale – République de Guinée Équatorial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조선 [[파일:Flecha tesela.png|15px]] [[#자|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colspan=2|
----
|-
|valign=top|'''{{국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조선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유엔 가입 국가인 [[대한민국]], [[일본]]의 승인을 받지 않았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대한민국]]의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조지아}}'''
* [[조지아어]]: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사카르트벨로</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조지아는 두 개로 나뉜 자치 국가를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국기|아자리야}}
* {{국기|압하지야}}
[[#기타 국가|압하지야]]와 [[#기타 국가|남오세티야]] (이전 자치 주체)는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이외에 국가로서 일체 인정받지 않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중화인민공화국|이름=중국}}''' – 중화인민공화국<ref name="ChinaTaiwan" >일반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중국", [[중화민국]]은 "타이완", 또는 "대만"이라고도 부른다. 중화민국의 경우 [[중화민국의 대외 관계|외교 관계]]에서 [[중화 타이베이]] 등 다른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ref>
* [[중국어]]: 中国 – 中华人民共和国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중궈 - 중화 런민 궁허궈</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중화인민공화국은 현재 중화민국을 승인한 UN 가맹 22개국과 [[바티칸 시국]]에게 승인을 받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 참고.</ref> 일반적으로 '''중국'''(China)으로 알려져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은 다섯 개의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시짱 자치구]]<ref name=autonomous/>
여기에 더하여, 다음 특별 행정 구역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국기|홍콩}} (홍콩 특별 행정구)<ref>[http://www.gov.hk 홍콩 정부]</ref>
* {{국기|마카오}} (마카오 특별 행정구)<ref>[http://www.gov.mo 마카오 정부]</ref>
다음 구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중화민국]]이 통치하는 [[타이완]]과 [[진먼 현]], [[마쭈 열도]], [[둥사 군도]].<ref name="TAI2" />
* [[시사 군도]] ([[베트남]] 및 중화민국과 분쟁)<ref name="Paracel">[[시사 군도]]에 대한 중국의 영유권 주장은 [[베트남]]과 [[중화민국]]의 분쟁 사안이 되었다. ([[영토 분쟁 목록]] 참고)</ref>
* [[스프래틀리 군도]] (중화민국,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브루나이]]와 분쟁)<ref name="Spratly">[[스플래틀리 군도]]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베트남]], [[필리핀]] (일부), [[말레이시아]] (일부), [[브루나이]] (일부)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영토이다. 브루나이를 제외한 각 국가는 군도의 일부를 점유하고 있다. ([[영토 분쟁 목록]] 참고)</ref>
* [[#I|인도]]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 일부.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하에 있는 [[악사이친]]은 인도가 [[잠무 카슈미르 주]]의 일부로 주장하고 있다.<ref name=Kashmir /> [[티베트 망명 정부|티베트]], [[동투르키스탄 독립운동|동투르키스탄]]은 분리주의 [[망명정부]]를 갖고 있다.<ref name=Sep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프랑스어]]: République Centrafricaine
* [[상고어]]: Ködörösêse tî Bêafrî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중화민국 [[파일:Flecha tesela.png|15px]] [[#타|타이완]]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중화인민공화국 [[파일:Flecha tesela.png|15px]] [[#자|중국]]
|-
|colspan=2|
----
|-
|valign=top|'''{{국기|지부티}}''' – 지부티 공화국
* [[프랑스어]]: Djibouti – République de Djibouti
* [[아랍어]]: جيبوتي – جمهورية جيبوتي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지부티 - 줌후리얏 지부티</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짐바브웨}}''' – 짐바브웨 공화국
* [[영어]]: Zimbabwe – Republic of Zimbabw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차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차드}}''' – 차드 공화국
* [[프랑스어]]: Tchad – République du Tchad
* [[아랍어]]: تشاد – جمهوريّة تشاد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차드 – 줌후리얏 차드</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체코}}''' - 체코 공화국<ref>체코 정부는 1993년부터 간단한 짧은 공식 명칭인 '''체키아'''(Czechia)를 권장해왔으나, 아직까지는 체코 (''Česko'')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체코의 명칭]] 참고.</ref>
* [[체코어]]: Česko – Česká republi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칠레}}''' – 칠레 공화국
* [[스페인어]]: Chile – República de Chil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스터섬]]은 칠레의 "특별 행정 구역"이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카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카메룬}}''' – 카메룬 공화국
* [[프랑스어]]: Cameroun – République du Cameroun
* [[영어]]: Cameroon – Republic of Cameroo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카보베르데}}''' – 카보베르데 공화국
* [[포르투갈어]]: Cabo Verde – República de Cabo Verd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 공화국
* [[카자흐어]]: Қазақ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Qazaqstan Respwblïkası
*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Казахстан/Respublika Kazakhst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카타르}}''' – 카타르국
* [[아랍어]]: قطر – دولة قطر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카타르 – 다울라트 카타르</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캄보디아}}''' – 캄보디아 왕국
* [[크메르어]]: [[파일:KingdomofCambodia.svg|150px]]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프레아 레아체아 나차크르 캄푸체아</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캐나다}}'''<ref>캐나다의 공식 명칭은 한 단어이다. 캐나다 자치령이라는 명칭은 현재 쓰이지 않으나 공식 명칭으로 허용한다. [[캐나다의 이름]]과 [[자치령]] 문서 참조.</ref>
* [[영어]]와 [[프랑스어]]: Canad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캐나다는 [[영국 연방 왕국]]이자<ref name=realm /> [[캐나다의 행정 구역|주와 준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
|colspan=2|
----
|-
|valign=top|'''{{국기|케냐}}''' – 케냐 공화국
* [[영어]]: Kenya – Republic of Kenya
* [[스와힐리어]]: Kenya – Jamhuri ya Keny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코모로}}''' – 코모로 연방
* [[코모로어]]: Komori – Udzima wa Komori
* [[프랑스어]]: Comores – Union des Comores
* [[아랍어]]: القمر – اتحاد القمر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쿠무르 - 잇티하드 알쿠무르</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코모로는 독립된 섬들로 이루어진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ref name=autonomous /> 코모로는 프랑스의 해외 영토인 [[마요트]]와 [[글로리오소 제도]]로 프랑스와 분쟁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코소보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코스타리카}}''' – 코스타리카 공화국
* [[스페인어]]: Costa Rica – República de Costa Ric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코트디부아르}}''' – 코트디부아르 공화국
* [[프랑스어]]: Côte d'Ivoire – République de Côte d'Ivoir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콜롬비아}}''' – 콜롬비아 공화국
* [[스페인어]]: Colombia – República de Colomb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콜롬비아는 31개 주 ([[산안드레스 이 프로비덴시아 주]] 포함)와 한 개의 수도 구역 ([[보고타]])으로 구성된 독립 공화국이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콩고}}''' - 콩고 공화국
* [[프랑스어]]: Congo – République du Cong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콩고 민주 공화국}}'''<ref>콩고 킨샤사라고도 부른다. 1971년부터 1997년까지의 공식 명칭은 [[자이르]]였다.</ref>
* [[프랑스어]]: Congo – République Démocratique du Cong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쿠바}}''' – 쿠바 공화국
* [[스페인어]]: Cuba – República de Cub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쿠바의 영토인 [[관타나모만]]에는 [[미국]]이 쿠바와의 1903년 조약에 따라서 임차료를 지불하고 있는 관할 영토 (영유권 주장 없음)인 [[관타나모만 해군기지]]가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쿠웨이트}}''' – 쿠웨이트국
* [[아랍어]]: الكويت – دولة الكويت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쿠웨이트 - 다울라트 알쿠웨이트</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공화국
* [[크로아티아어]]: Hrvatska – Republika Hrvats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 공화국
* [[키르기스어]]: Кыргызстан – 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 레스푸블리카시</span>
* [[러시아어]]: Кыргызстан – Кыргыз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카야 레스푸블리카</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키리바시}}''' – 키리바시 공화국
* [[키리바시어]]: Kiribati – Ribaberikin Kiribati
* [[영어]]: Kiribati – Republic of Kiribat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키프로스}}''' – 키프로스 공화국
* [[그리스어]]: Κυπρος – Κυπριακή Δημοκρατία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키프로스 - 키프리아키 디모크라티아</span>
* [[튀르키예어]]: Kıbrıs – Kıbrıs Cumhuriyet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ref>키프로스는 터키를 제외한 모든 유엔 가입 국가와 바티칸 시국의 승인을 받았다. [[키프로스의 외교 관계]] 참조.</ref> [[#Annex|북키프로스]]는 국가이지만 법률상으로 키프로스의 영토이다.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타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타이 [[파일:Flecha tesela.png|15px]] [[#타|태국]]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타이완 [[파일:Flecha tesela.png|15px]] [[#기타 국가|기타 국가]]
|-
|colspan=2|
----
|-
|valign=top|'''{{국기|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 공화국
* [[타지크어]]: Тоҷикистон – Ҷумҳурии Тоҷикистон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토지키스톤 – 줌후리 토지키스톤</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타지키스탄은 자치주인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를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탄자니아}}''' –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
* [[스와힐리어]]: Tanzania – Jamhuri ya Muungano wa Tanzania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탄자니아 - 잠후리 야 뭉가노 와 탄자니아</span>
* [[영어]]: Tanzania – United Republic of Tanzani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탄자니아는 자치령 [[잔지바르]]를 가지고 있는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태국}}''' – 타이 왕국
* [[태국어]]: ประเทศไทย – ราชอาณาจักรไทย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프라테트 타이 – 랏차 아나착 타이</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튀르키예}}''' – 터키 공화국
* [[튀르키예어]]: Türkiye – Türkiye Cumhuriyet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터키는 [[시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하타이 주]]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토고}}''' – 토고 공화국
* [[프랑스어]]: Togo – République Togolais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통가}}''' – 통가 왕국
* [[통가어]]: Tonga – Pule'anga Fakatu'i 'o Tonga
* [[영어]]: Tonga – Kingdom of Tong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멘어]]:Türkmenist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투발루}}'''
* [[투발루어]]와 [[영어]]: Tuvalu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투발루는 [[영국 연방 왕국]]이다.<ref name=realm />
|-
|colspan=2|
----
|-
|valign=top|'''{{국기|튀니지}}''' – 튀니지 공화국
* [[아랍어]]: تونس – الجمهورية التونس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투니스 – 알줌후리야 앗투니시야</span>
* [[프랑스어]]: République du Tunisi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 공화국
* [[영어]]: Trinidad and Tobago – Republic of Trinidad and Tobago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자치 구역인 [[토바고섬]]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파 ===
|-
|colspan=2|
----
|-
|valign=top|'''{{국기|파나마}}''' – 파나마 공화국
* [[스페인어]]: Panamá – República de Panamá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파라과이}}''' – 파라과이 공화국
* [[스페인어]]: Paraguay – República del Paraguay
* [[과라니어]]: Paraguái – Têta Paraguá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파키스탄}}''' – 파키스탄 이슬람 공화국
* [[우르두어]]: پاکستان – اسلامی جمہوریۂ پاکستان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파키스탄 – 이슬라미 좀후리예 파키스탄</span>
* [[영어]]: Pakistan – Islamic Republic of Pakist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파키스탄은 [[파키스탄의 행정 구역|주와 준주]]로 나뉜 [[연방|연합 국가]]이다.<ref name=federal /> 파키스탄은 [[카슈미르]] 지역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Kashmir />
|-
|colspan=2|
----
|-
|valign=top|'''{{국기|파푸아뉴기니}}''' – 파푸아뉴기니 독립국
* [[영어]]: Papua New Guinea – Independent State of Papua New Guinea
* [[톡 피신]]: Papua Niugini – Independen Stet bilong Papua Niugin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파푸아뉴기니는 [[영국 연방 왕국]]으로,<ref name=realm /> 자치 구역인 [[부건빌 자치주]]를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팔라우}}''' – 팔라우 공화국
* [[팔라우어]]: Belau – Beluu er a Belau
* [[영어]]: Palau – Republic of Palau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미국]]과의 [[자유 연합 협정]]으로 [[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국
* [[영어]]: Palestin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옵서버 국가로 승인 받았다. [[이스라엘]]과 영토 분쟁을 빚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페루}}''' – 페루 공화국
* [[스페인어]]: Perú – República del Perú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포르투갈}}''' – 포르투갈 공화국
* [[포르투갈어]]: Portugal – República Portugues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포르투갈은 다음 두 자치 구역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국기|아소르스 제도}}
* {{국기|마데이라 제도}}
포르투갈은 [[스페인]]의 [[올리벤사]]와 [[탈리가]]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폴란드}}''' – 폴란드 공화국
* [[폴란드어]]: Polska – Rzeczpospolita Polska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국기|프랑스}}''' – 프랑스 공화국
* [[프랑스어]]: France – République française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영토 ([[프랑스령 기아나]],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레위니옹]], [[마요트]])는 프랑스 영토의 일부이며, 프랑스는 무인도인 [[클리퍼턴섬]]도 소유하고 있다. 프랑스는 또한 다음 해외 영토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 {{국기|프랑스령 폴리네시아}} ''(Polynésie française)''
* {{국기|누벨칼레도니}}
* {{국기|생바르텔레미}}
* {{국기|생마르탱}}
* {{국기|생피에르 미클롱}}
* {{국기|왈리스 푸투나}}
* {{국기|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아델리 랜드]]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어떠한 나라도 이를 일체 인정하지 않는다. 프랑스는 [[마다가스카르]]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바사스다인디아]], [[유로파섬]], [[주앙드노바]]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 또한, [[마다가스카르]]와 [[세이셸]], [[코모로]]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글로리오소 제도]]의 주권, [[모리셔스]]와 [[세이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트로믈랭섬]]의 주권을 행사하고 있다.<ref name=dis />
|-
|colspan=2|
----
|-
|valign=top|'''{{국기|피지}}''' – 피지 공화국
* [[피지어]]: Viti – Matanitu Tu-Vaka-i-koya ko Viti
* [[영어]]: Fiji – Republic of the Fiji Islands
* [[피지 힌디어]]:<ref>피지 힌디어는 [[힌디어]]와 [[우르두어]]를 함께 사용한다.</ref> फ़िजी / فِجی – फ़िजी गणराज्य / فِجی رپبل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피지 - 피지 리파블리크</span><ref>한글 표기에 쓰인 로마자 표현은 [http://www.geonames.de/coufj.html Geonames] {{웨이백|url=http://www.geonames.de/coufj.html |date=20100417142151 }}에서 가져왔다.</ref>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피지는 보호령 자치 구역인 [[로투마섬]]을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
|colspan=2|
----
|-
|valign=top|'''{{국기|핀란드}}''' – 핀란드 공화국
* [[핀란드어]]: Suomi – Suomen tasavalta
* [[스웨덴어]]: Finland – Republiken Finland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국기|올란드 제도}}는 핀란드의 자치 구역으로, 비무장 중립 지역이다.<ref name=autonomous/><ref>[[올란드]]는 1856년 [[파리 조약 (1856년)|파리 조약]]으로 비무장지대가 되었으며, 이후 1921년 [[국제 연맹]]에 의해 단언되었다. 1995년에는 일부 다른 정황에 따라 [[유럽 연합]]의 조약을 통해서 핀란드령이 재선언되었다.</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필리핀}}''' – 필리핀 공화국
* [[필리핀어]]: Pilipinas – Republika ng Pilipinas
* [[영어]]: Philippines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 필리핀은 자치 구역인 [[무슬림 민다나오 자치구]]를 가지고 있다.<ref name=autonomous/> 필리핀은 [[스프래틀리 군도]], [[황암도]], [[말레이시아]]가 영유하는 [[사바주]]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Spratly/>
|-
|colspan=2|
----
|-
|colspan=3|
{{가나다 찾기}}
=== 하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한국 [[파일:Flecha tesela.png|15px]] [[#다|대한민국]]
|-
|colspan=2|
----
|-
|valign=top|'''{{국기|헝가리}}''' - 헝가리 공화국
* [[헝가리어]]: Magyarország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엔]]과 [[유럽 연합]] 가입 국가로 승인 받았다.<ref name=EU />
|-
|colspan=2|
----
|-
|valign=top colspan=2 style="font-size: 90%;"|호주 [[파일:Flecha tesela.png|15px]] [[#아|오스트레일리아]]
|-
|colspan=2|
----
|}
== [[미승인 국가]] ==
{{참고|미승인 국가 목록}}
이 목록은 주권을 주장하고 점유한 영토를 실제로 관리하고 있으나, 많은 국가와 외교관계를 맺지 못한 나라를 설명하고 있다. [[마이크로네이션]]는 이 목록에 포함하지 않는다.
{|border="0" cellpadding="0"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5%; border-collapse'': collapse; border'': 0px solid #AAAAAA;"
|-
|colspan=2|
----
|-
|valign=top|'''{{국기|남오세티야}}''' – 남오세티야 공화국
* [[오세트어]]: Хуссар Ирыстон – Республикæ Хуссар Ирыстон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후사르 이리스톤 - 레스푸블리캐 후사르 이리스톤</span>
* [[러시아어]]: Южная Осетия – Республика Южная Осетия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유즈나야 오세티야 – 레스푸블리카 유즈나야 오세티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사실상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압하지야, 트란스니스트리아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조지아]]가 국가 전체를 남오세티야 임시 행정 독립구로 점유하고 있다.<ref name="cnnAbSO" />
|-
|colspan=2|
----
|-
|valign=top|'''{{국기|북키프로스}}''' –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
* [[튀르키예어]]: Kuzey Kıbrıs – Kuzey Kıbrıs Türk Cumhuriyeti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사실상 [[터키]]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1979년부터 터키 키프로스 국가라는 이름으로 [[이슬람 회의 기구]]의 참관 국가 자격을 승인 받았다. 또한, [[나히체반|나히체반 자치 공화국]]은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을 주권 국가로 간주하나, 아제르바이잔(나히체반이 속한 주권 국가)은 입장이 다르다. [[키프로스 공화국]]이 국가 전체를 자국의 영토로 점유하고 있다.<ref>[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cy.html 더 월드 팩트북|키프로스] {{웨이백|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cy.html |date=20181226020655 }} (2006년 1월 10일), 미국 중앙 정보국, 2006년 1월 17일 확인.</ref>
|-
|colspan=2|
----
|-
|valign=top|'''{{국기|서사하라}}'''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아랍어]]: الجمهورية العربية الصحراوية الديمقراطية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알줌후리야 알아라비야 아스사라위야 아드디무크라티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사실상 46개 나라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아프리카 연합]]과 2005년 [[아시아 아프리카 회의]]에서 결성된 아시아 아프리카 전략 협력의 가입국이다. [[모로코]]가 자유 구역이라고 부르는 영토 전체를 남부 주로 점유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은 [[모로코]]가 지배하는 [[서사하라]]의 일부와 모로코 장벽의 서부를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추방 당하여 [[알제리]]에 위치한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소말릴란드}}''' – 소말릴란드 공화국
* [[소말리아어]]: Soomaaliland – Jamhuuriyadda Soomaaliland
* [[아랍어]]: ارض الصومال – جمهورية ارض الصومال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아르드 앗수말 - 줌후리얏 아르드 앗수말</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현재 [[에티오피아]]만이 승인한 상태이다.<ref>[http://news.bbc.co.uk/1/hi/world/africa/country_profiles/3794847.stm 지역과 영토: 소말릴란드] (2005년 12월 30일), BBC 뉴스, 2006년 1월 17일 확인.</ref>
|-
|colspan=2|
----
|-
|width=60%|'''{{국기|압하지야}}''' - 압하지야 공화국
* [[압하지야어]]: Аҧсны – Аҧснытәи Республика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압스니 – 압스니테이 레스푸블리카</span>
* [[러시아어]]:Aбхазия – Республика Абхазия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압하지야 – 레스푸블리카 압하지야</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사실상 러시아, 니카라과, 베네수엘라, 나우루, 시리아, 남오세티야, 트란스니스트리아만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ref name="cnnAbSO">{{웹 인용|url=http://www.cnn.com/2008/WORLD/europe/08/26/russia.vote.georgia/index.html|출판사=[[CNN]].com|제목=반란 지역에 대한 승인으로 비난 받는 러시아|날짜=2008-08-26|확인날짜=2008-08-26}}</ref><ref>{{웹 인용|url=http://www.guardian.co.uk/world/2009/dec/14/nauro-recognises-abkhazia-south-ossetia|출판사=가디언|제목=작은 나우루가 공화국으로 승인 받으며 세계 무대를 활보하다}}</ref> [[조지아]]가 국가 전체를 자국의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으로 점유하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국기|코소보|이름=코소보}}''' - 코소보 공화국
* [[알바니아어]]: Kosovës – Republika e Kosovës
* [[세르비아어]]: Косово – Република Косово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코소보 - 레푸블리카 코소보</span>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대한민국을 포함한 100여개 유엔 회원국과 유엔 비회원국인 중화민국이 승인하는 독립 국가이다. [[중앙유럽 자유 무역 협정]]의 가입 국가이다. [[세르비아 공화국]]이 코소보 공화국 전체를 여전히 자국의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의 일부로 주장하며 독립 선언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코소보 공화국은 세르비아 공화국이 여전히 지배하는 [[북코소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colspan=2|
----
|-
|valign=top|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
|-
|colspan=2|
|-
|valign=top|'''{{국기|중화민국|이름=타이완}}''' – 중화민국
* [[중국어]]: 臺灣, 中華民國
:<span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타이완 - 중화 민궈</span><ref>[[한어 병음]]을 따름.</ref>
|valign=top style="text-align:left; font-size: 90%;"|1949년부터 [[하나의 중국]]이라는 정통성을 두고 [[중화인민공화국]]과 분쟁하는 국가이다. 중화민국은 [[타이완|타이완섬]] 및 [[중국 대륙]]에 인접한 일부 도서들, [[스프래틀리 군도]]의 일부를 지배하고 있으며,<ref name=Spratly /> 형식상 중화인민공화국과 [[몽골]]의 영토 일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뉴스 인용|제목=중국을 중화민국 영토로 언급하는 매거진 인터뷰 |뉴스=[[타이페이 타임즈]] |날짜=2008-10-08 |url=http://www.taipeitimes.com/News/taiwan/archives/2008/10/08/2003425320}}</ref> 반면 중화민국이 실효지배중인 영토 일체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ref name="TAI2">1949년, [[중국 국민당|국민당]]이 집권하던 중화민국 정부는 [[국공 내전]]에서 [[중국 공산당|공산당]]에게 [[중국 대륙]]을 빼앗기고 타이완섬으로 이주하였고, 이후 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을 건립하면서 [[분단국가]]가 되어 오늘에 이른다. 따라서 그러한 타이완의 [[타이완 문제|정치적 지위와 법적인 지위]] (현재 중화민국 관할 [[타이완 지구|영토]] 문제 포함)는 아직도 분쟁 상태에 있다. 1971년, 중화민국은 UN에서 중국의 대표권을 잃게 되었고, 이를 계기로 다수의 나라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 전체의 합법적이고 유일한 대표라고 인정하는 쪽으로 돌아섰다.</ref> 중화민국은 [[세계 무역 기구]], [[국제 올림픽 위원회]]를 비롯한 많은 비유엔 국제 기구에서 [[차이니스 타이베이]]라는 잠정적인 명칭으로 참가하기도 한다.
|-
|colspan=2|
----
|}
== 기타 국가가 아닌 지역이나 단체 ==
* '''[[남극 대륙]]''' 전체는 정부와 영속 인구가 없다. 7개 국가가 남극 대륙 일부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5개 국가가 서로의 영유권을 인정하고 있다.<ref name="mutualrecog">{{서적 인용 | 성 = 로건 핀모어 | 이름 = 미셸 | 연도 = 2005 | contribution = What Bioprospecting Means for Antarctica and the Southern Ocean | editor-last = Von Tigerstrom | editor-first = Barbara | 제목 = International Law Issues in the South Pacific | 출판사 = Ashgate Publishing | 쪽 = 204 | isbn = 0754644197}} "Australia, New Zealand, France, Norway and the United Kingdom reciprocally recognize the validity of each other's claims."</ref> [[남극 조약]]에 따라서 규제되는 이 권리는 어떤 나라에서도 승인을 받지 않았다.<ref name="cia">[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ay.html CIA – 더 월드 팩트북 – 남극 대륙] {{웨이백|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geos/ay.html |date=20181225211652 }}, 2008년 1월 19일 확인.</ref>
* {{국기그림|EU}} '''[[유럽 연합]]'''은 27개 가입 국가를 보유한 독특한 초국가 기구이다. 가입 국가는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 기준을 유럽 연합 위원회로 이양하며, 유럽 연합은 엄밀히 말해 일반적인 주권 국가 간주와 관계 없이 주권 국가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유럽 연합은 주권 국가를 주장하지 않으며, 다른 나라와의 관계에서 제한된 지위를 가지고 있다.
* {{국기그림|몰타 기사단}} '''[[몰타 기사단]]'''은 "총회에 유효 참관국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으며, 본부에서 영속적인 지위를 유지하는 기타 국가" 분류에 속하는 유엔 참관 국가이다.<ref>{{웹 인용|url=http://www.un.org/en/members/intergovorg.shtml |제목=Other entities having received a standing invitation to participate as observers in the sessions and the work of the General Assembly and maintaining permanent offices at Headquarters |확인날짜=2009-12-22 }}</ref> 이 단체는 104개 국가와 쌍방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나, [[로마]] 내의 치외 법권 영역 이외에는 일정한 영토가 없다.<ref>[http://www.orderofmalta.org/attdiplomatica.asp?idlingua=5 국가간 쌍방 관계] {{웨이백|url=http://www.orderofmalta.org/attdiplomatica.asp?idlingua=5 |date=20080626003221 }}, 2009-12-22 확인.</ref> 단체의 웹사이트에서는 "항상 국가에게 국제법의 독립 주체로 인정 받는다."고 선언하고 있다.<ref>{{웹 인용|url=http://www.orderofmalta.org/site/domrisp.asp?idlingua=5abs#1p?idlingua=5 |제목=몰타 기사단이란 무엇인가? |확인날짜=2009-12-22 }}</ref> 기사단의 [http://www.orderofmalta.org/site/pdf/Constit._Charter_and_code.pdf 헌법] 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기사단은 국제법의 주체이며, 주권 기능을 행사한다."<ref>{{서적 인용 | 성 = Chapter General of the Sovereign Military Hospitaller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of Rhodes and of Malta | first = | authorlink = | coauthors = | 제목 = Constitutional Charter and Code of the Sovereign Military Hospitaller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of Rhodes, and of Malta, promulgated 27 June 1961, revised by the Extraordinary Chapter General 28-30 April 1997, Article 3 "Sovereignty," Paragraph 1. | 출판사 = Tipografia Arte della Stampa | 날짜 = 1998-01-12 | 출판위치 = 로마 | 쪽 = 11 | url = http://www.orderofmalta.org/site/pdf/Constit._Charter_and_code.pdf }}</ref> 기사단은 자주 주권을 주장하고 있지만,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주권 국가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다른 [[대사관]]처럼 [[이탈리아]]는 이론상 기사단과 외교 관계를 파기할 수 있으며, 이탈리아 국민이 아닌 단원을 이탈리아 영토에서 강제로 추방할 수 있다. 기사단의 단원은 모두 다른 나라의 국민이기 때문에, 사실상 이들은 모두 자신의 국가에서 살고 있으며, [[로마]]에서 기사단의 치외 법권 영역에 거주하는 단원은 오직 공식 직무에만 연관하여 활동한다. 따라서, 기사단은 영속적인 국민의 특성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기타 국가에서 주 (State)라고 칭하는 행정 구역은 [[주 (행정 구역)]]을 참고하라. 이러한 하부 국가 개념의 행정 구역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다른 나라와 관계를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독일 제국]]의 주는 해외 영사관을 가졌으며, [[소비에트 연방]]의 한 부분이었던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현재의 [[우크라이나]])과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현재의 [[벨라루스]])는 유엔 가입국이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주들은 자주적이고 독립적임을 주장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마이크로네이션]]으로 여겨지는 국가는 자주적이고 독립적이라고 주장하고 다른 나라와 외교 관계를 맺고자 시도하여도 일반적으로 국가로 여겨지지 않는다. 마이크로네이션이 정말로 점유한 영토를 지배하는지, 마이크로네이션의 '인구' 감소 빈도가 낮은 지의 여부는 논쟁이 되고 있다.
*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등 다른 나라들 못지 않은 [[영역]]을 두고 있으며 스스로를 "나라"라고 자처하지만 국제적으로 승인되지 않아 국제법상 주권이 결여되어 있어 '나라'로 간주되지 않는다. 다만 영토를 점유하고 국가의 요소를 일부 갖춘 [[준국가]](quasi-state)의 일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같이 보기 ==
* [[대륙별 나라 목록]]
* [[국기 목록]]
* [[국장 목록]]
* [[국가 목록]]
* [[나라 표어 목록]]
== 각주 ==
{{각주}}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제목=The World: A Third World Guide : 1995/96|편집자=Bissio|출판사=Instituto del Tercer Mundo|연도=1995|출판위치=몬테비데오|isbn=9780855982911|oclc=476299738}}
* {{서적 인용|url=http://books.google.ca/books?id=NYszJtC66FAC&pg=PA161&dq=%22official+name%22+palestine&lr=#v=onepage&q=%22official%20name%22%20palestine&f=false|쪽=161|제목=중동 리뷰 2003/04: 경제 및 업무 보고서|저자=정보 세계 (회사)와 국제 상업 회의소|판=27|출판위치=런던|출판사=코건 페이지|연도=2003|isbn=9780749440664|oclc=51992589}}
* [http://www.un.org/Depts/Cartographic/english/geoinfo/geoname.pdf 영토 목록] (2004). [[유엔]] 지도 제작 단락. <small> 2006년 1월 17일 확인</small>.
* [http://unstats.un.org/unsd/methods/m49/m49alpha.htm Countries or areas, codes and abbreviations] (2006). [[유엔]] [[통계학]] 분할. <small>2006년 10월 18일 확인</small>.
* [http://publications.europa.eu/code/en/en-5000500.htm 국가와 화폐] (2006). [[유럽 위원회]]. <small>2006년 10월 27일 확인</small>.
* [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index.html 더 월드 팩트북] {{웨이백|url=https://www.cia.gov/library/publications/the-world-factbook/index.html |date=20171107142508 }} (2006). [[미국 중앙 정보국]]. <small>2006년 1월 17일 확인</small>.
* [http://www.iso.org/iso/en/prods-services/iso3166ma/02iso-3166-code-lists/list-en1.html ISO 3166 국가 코드 목록] {{웨이백|url=http://www.iso.org/iso/en/prods-services/iso3166ma/02iso-3166-code-lists/list-en1.html |date=20080808114557 }} (2006) [[ISO 3166-1]] <small>2006년 10월 18일 확인</small>
* [http://www.madore.org/~david/misc/countries.html 이 세상에는 몇 개의 나라가 있을까?] 데이비드 매도어 논설
* [https://web.archive.org/web/20100619203051/http://www.mobilgistix.com/Resources/GIS/Locations/average-latitude-longitude-countries.aspx 국가의 평균 위도 및 경도]
* [http://www.timdavis.com.au/data/ ISO 국가 세계 목록]
{{나라별 목록}}
[[분류:나라 목록| ]]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학문 정보
|학문명 = 화학
|그림 = Chemicals in flasks.jpg
|그림크기 =
|그림설명 =화학은 물질에 대해서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다.
|다른 이름 =
|연구 분야 =
|학문 분야 =자연과학
|주요 개념 =
|파생 분야 =
|창시자 =
|창시 시기 =
|관련 직업 =
}}
{{포털|화학}}
{{단일 출처|날짜=2024-02-02}}
'''화학'''(化學)은 [[물질]]의 성질, 조성, 구조, 변화 및 그에 수반하는 에너지의 변화를 연구하는 [[자연과학]](自然科學)의 한 분야이다. [[물리학]](物理學)도 역시 물질을 다루는 학문이지만, 물리학이 [[화학 원소|원소]](元素)와 [[화합물]](化合物)을 모두 포함한 물체의 운동과 에너지, 열적·전기적·광학적·기계적 속성을 다루고 이러한 현상으로부터 통일된 이론을 구축하려는 것과는 달리 화학에서는 물질 자체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ref name="hakwon">學園出版公社 事典編纂局 편, 〈화학〉, 《學園世界大百科事典》(Vol. 32), 서울:學園出版公社, 1993, 330~334쪽.</ref> 화학은 이미 존재하는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한 목적에 맞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는 길을 제공하며, 이는 [[농작물]](農作物)의 증산, 질병의 치료 및 예방, [[에너지]] 효율 증대, [[공해 (환경)|환경오염]](環境汚染) 감소 등 여러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ref>Oxtoby, D. W. et al., ''Principles of Modern Chemisty'', 6th edition, Belmont: Thomson Brooks/Cole, 2007, p. 2</ref>
== 어원 ==
화학은 [[연금술사]]들이 물질을 섞으며 발전시켰기 때문에 화학을 뜻하는 영어 ‘케미스트리(chemistry)’는 [[연금술]]을 뜻하는 단어 ‘알케미(alchemy)’에서 비롯하였다. 이는 다시 아랍어 ‘알 키미야({{lang|ar|الكيمياء}}, al-kīmiyāʾ)’에서 왔는데, 이 단어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화학(化學)’이란 단어는 물질의 변화를 다루는 학문이라는 점에 착안한 번역어이다. 이 번역어는 {{임시링크|장덕이|zh|张德彝}}의 《항해술기(航海述奇)》(1866), {{임시링크|윌리엄 알렉산더 파슨스 마틴|en|William Alexander Parsons Martin}}의 자연과학 교과서 《격물입문(格物入門)》(1866) 등에서 처음 쓰였다.<ref>{{서적 인용 |성=Masini |이름=Federico |translator=이정재 |날짜=2005 |orig-year=1993 |제목=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url= |언어= |위치= |출판사=소명출판 |isbn= |확인날짜= }}</ref>
== 역사 ==
{{본문|화학의 역사}}
'''고대 화학(古代化學)'''
<nowiki>*</nowiki>''초기 야금 (冶金, 야금: 금속을 광석으로부터 추출하고 정련하는 기술)''
인간에 의해 발견된 최초의 기록된 금속은 [[금]](金)인 것으로 보이며 구석기(舊石器) 후기(BC 40,000)에 [[스페인]] [[동굴]]에서 소량의 천연 [[금]]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은]](銀), [[구리]](銅), [[주석 (원소)|주석]](朱錫) 및 유성 [[철]](鐵) 또한 고대 문화에서 일부 제한된 양의 금속 가공을 허용하면서 고대문화로 발견 될 수 있었다. 기원전 3000년경 유성 철제로 만든 [[이집트]] 무기는 "천국의 단검(天國短劍)"으로 높이 평가 받았다.
아마도 통제 된 방식으로 사용된 최초의 화학 반응은 [[불]]이었다. 그러나 천년 동안 불은 단순히 열과 빛을 생성하면서 한 물질을 다른 물질 (타는 나무 또는 끓는 물)로 변형시킬 수 있는 신비한 힘으로만 알려졌다. [[불]]은 초기 사회의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요리 및 서식지(棲息地) 조명과 같은 일상 생활의 가장 단순한면에서 도기, 벽돌 및 금속을 녹여 도구를 만드는 것과 같은 고급 기술(高級技術)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유리(琉璃)의 발견과 금속(金屬)의 정화로 이어지는 불로 인해 야금이 부상했다. 야금의 초기 단계에서 금속의 정화 방법이 요구되었고, 금은 BC 2900년 초기의 고대 이집트의 귀중한 금속이되었다.
'''17 세기와 18 세기 : 초기 화학(初期化學)'''
''<nowiki>*</nowiki>로버트 보일''
[[파일:Robert Boyle 0001.jpg|왼쪽|섬네일|로버트 보일 현대 화학의 공동 창립자 ]]
영국계 미국인 화학자(化學者) 로버트 보일 (Robert Boyle, 1627-1691)은 연금술(鍊金術)에 대한 현대의 과학적 방법을 정제하고 화학을 연금술과 분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의 연구가 연금술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일은 오늘날 현대의 화학자이자 현대화학(現代化學)의 창시자이자 현대 실험 과학 방법의 선구자(先驅者) 중 한 사람으로 불리고 있다. 보일이 원래 발견자가 아님에도 보일은 1662년에 제시한 보일의 법칙으로 가장 잘 알려져있다. 보일의 (法則)은 온도(溫度)만 폐쇄(閉鎖)된 시스템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가스의 절대 압력과 부피가 반비례함을 의미한다. 보일은 또한 화학 분야의 초석으로 간주되는 1661년의 [http://www.finelfc.com/437 《의심 많은 화학자》] 에 대한 획기적인 저서로 인정받고 있다. 작품에서 보일은 모든 현상이 움직이는 입자의 충돌의 결과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보일 (Boyle)은 화학자들에게 실험을 호소했으며 실험은 지구, 화염, 공기 및 물과 같은 고전적인 4 가지 원소만으로 화학 원소를 제한한다는 것을 부인했다. 그는 또한 화학이 의학이나 연금술에 종속되어 과학의 지위로 부상하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요한 것은 과학 실험에 대한 엄격한 접근 방식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이론이 사실로 간주되기 전에 실험적으로 입증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이 작품은 원자, 분자 및 화학 반응의 가장 초기의 현대적인 아이디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현대 화학의 역사의 시작을 나타낸다. 보일은 또한 화학 물질을 정제하여 재현 가능한 반응을 얻으려고 시도했다. 그는 재료 물질의 물리적 특성(物理的特性)과 상호 작용(相互作用)을 설명하고 정량화(定量化)하기 위해 르네 데카르트가 제안한 기계 철학(機械哲學)의 공개적인 지지자였다. 보일은 원자핵론자(原子核論者)였지만 원자보다 더 많은 입자를 선호했다. 그는 속성이 유지되는 물질의 가장 정밀한 부분은 미립자(微粒子)의 수준에 있다고 논평했다. 그는 또한 공기 펌프로 수 많은 조사를 수행했으며, 공기가 펌프로 퍼져 나감에 따라 수은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또한 컨테이너에서 공기를 펌핑하면 화염을 없애고 내부에 있는 작은 동물을 죽일 수 있음을 관찰했다.
== 주요 개념 ==
=== 원자와 원소 ===
{{본문|원자|화학 원소}}
과거 화학에서 더 이상 나뉘지 않는 기초적인 요소가 존재한다고 했는데, 이 기초적인 요소를 [[원자]](原子)라 한다. 원자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입자(粒子)로 [[고대]] [[그리스]]의 데모크리토스에서부터 그 존재가 주장되었는데, 1803년 [[존 돌턴]]에 의해서 [[원자론]](原子論)으로 정리되었다. 20세기 초, 화학자들은 [[원자]]를 구성하는 더 작은 입자들, 즉 [[전자]](電子), [[양성자]](陽性子), [[중성자]](中性子)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전자]]는 음전하를 띠고 있고, [[양성자]]는 양전하를 띠고 있으며, [[중성자]]는 전하를 띠지 않고 있다. [[원자]]는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는 [[원자핵]](原子核)을 가지고 있으며 [[전자]]는 이 주변에 [[원자 궤도]](原子軌道)을 이루며 분포되어 있다.<ref name="mcgraw">Parker, S. P. et al., "Chemistry",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New York: McGraw-Hill, 1993, pp. 202~204.</ref>
[[화학 원소|원소]](元素)는 일반적인 화학적, [[물리학]]적 방법으로는 분해되지 않는 [[물질]]을 의미한다.<ref>Oxtoby, D. W. et al., op. cit., p. 7.</ref> [[화학 원소|원소]]는 [[원자핵]]에 존재하는 [[양성자]] 수로 정의되는 [[원자 번호]](原子番號)로 구별된다. [[산소]](酸素), [[황]](黃), [[주석 (원소)|주석]](朱錫), [[철]](鐵) 등은 [[화학 원소|원소]]이다. 19세기 중엽까지 약 80가지의 원소가 발견되었는데, 이들은 [[주기율]](週期律)에 따라 배열(配列)될 수 있다.<ref name="mcgraw"/>
=== 동위 원소 ===
{{본문|동위 원소}}
동위원소(同位元素)는 아이소토프 또는 동위체(同位體)라고도 한다. 서로 화학적으로는 거의 구별하지 못하지만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원자(原子)의 질량(質量)이 서로 다른 원소를 동위원소라고 한다. 영어의 isotope는 그리스어인 isos(같은)와 topos(장소)의 합성어(合成語)인데, 질량은 서로 달라도 원소의 주기율표(週期律表)에서 같은 장소에 배열되는 데서 1901년 영국의 화학자 F. 소디가 isotope라는 명칭을 붙였다. 대부분의 [[화학 원소|원소]]는 [[동위 원소]]를 가진다.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는 같으나, [[중성자]]수가 다른 [[화학 원소|원소]]를 뜻한다. [[동위 원소]]는 화학적인 성질(化學的性質)은 동일하나, [[원자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자연에서도 발견되는 92개의 [[화학 원소|원소]] 중 88개는 [[동위 원소]]가 지표면 상에 존재한다. 자연에서 발견되지 않더라도 [[동위 원소]]는 [[핵반응]](核反應)을 이용하여 만들어낼 수 있다. 어떤 [[동위 원소]]는 방사능을 가지기도 하는데, 이 경우 [[동위 원소]]의 [[원자핵]]은 불안정하고 [[방사선]](放射線)을 방출하며 자연적으로 붕괴된다.<ref name="mcgraw"/>
=== 동중 원소 ===
{{본문|동중 원소}}
[[동중 원소]](同重元素)는 원자 질량(原子質量)은 같으나, [[양성자]]수(陽性子數)가 다른 [[화학 원소|원소]]를 뜻한다. [[동중 원소]]는 화학적, 물리적 성질이 다르며 <sup>40</sup>S, <sup>40</sup>Cl, <sup>40</sup>Ar, <sup>40</sup>K, <sup>40</sup>Ca등이 있다.
=== 분자와 화학 반응 ===
[[파일:Water molecule 3D.svg|섬네일|right|200px|물 분자]]
{{본문|분자|화학 반응}}
[[분자]](分子)란 원자의 결합체(結合體) 중 독립 입자(獨立粒子)로서 작용하는 단위체(單位體)이다. 일정한 개수의 [[원자]]가 특정하게 정렬되어 서로 결합해 [[분자]]가 형성된다. [[원자]]가 [[화학 원소|원소]](元素)의 최소단위(最小單位)이듯, [[분자]](分子)는 [[화합물]](化合物)의 최소단위가 된다. [[원자]]가 결합(結合)될 때 [[전자]]의 재배치(再配置)가 일어나는데, 이는 화학에서의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화학 반응]]은 [[원자]] 혹은 [[분자]]가 화학적인 변화를 겪는 일을 말한다. [[화학 반응]]은 [[원자]]간의 [[화학 결합|결합]]이 끊어지는 일과 다시 이어지는 일을 포함한다. [[화학 결합|결합]]이 끊어질 때는 [[에너지]]가 흡수되고, [[화학 결합|결합]]이 이어질 때는 [[에너지]]가 방출된다. 화학 반응의 간단한 예로는 [[수소]]와 [[산소]]가 반응하여 [[물]]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반응식(反應式)은 다음과 같다.
::2 [[수소|H<sub>2</sub>]] + 2 [[산소|O]] → 2 [[물|H<sub>2</sub>O]]
::ΔH = - 572[[줄 (단위)|kJ]]
반응식(反應式)에서 알 수 있듯이, [[화학 반응]]에서는 [[원자]]가 새로 생성되거나 나타나는 일이 일어나지 않는다. ΔH는 [[에너지]] 또는 [[엔탈피]] 변화를 뜻한다. 반응은 발열반응(發熱反應)일 수도 있고, 흡열반응(吸熱反應)일 수도 있다. 발열반응은 주위로 열을 방출(放出)하는 반응으로 엔탈피 변화가 음수(陰數)로 나타난다. 반면에 흡열반응은 주위 열을 흡수하는 반응으로 엔탈피 변화가 양수(陽數)로 나타난다. 위 반응의 경우는 발열반응인데, 이는 [[계 (물리학)|계]](界)로부터 [[주위]](周圍)로 열이 이동(移動)하였다는 의미이다.<ref name="mcgraw"/>
=== 화학 결합 ===
{{본문|화학 결합}}
[[화학 결합]](化學結合)을 주된 세 가지 부류로 나누어보면 [[이온 결합]](ion結合), [[공유 결합]](共有結合) 그리고 [[금속결합]](金屬結合)으로 나눌 수 있다. [[이온]]이란 전하(電荷)를 띤 [[원자]] 또는 [[분자]]를 뜻한다. [[이온 결합]]은 양전하(陽電荷)와 음전하(陰電荷)의 전기적인 인력(電氣的引力)에 의해서 생성되는 [[화학 결합]]이다. 예를 들면 [[염화 나트륨]]은 양전하를 띤 [[나트륨]] [[이온]](Na<sup>+</sup>)과 음전하를 띤 [[염소 (원소)|염화]] [[이온]](Cl<sup>-</sup>) 사이의 전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진 이온 화합물(化合物)이다. 이러한 물질을 [[물]]에 녹이면 [[이온]]은 [[물]] [[분자]]에 의해 수화되고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수용액(水溶液)은 전기전도도(電氣傳導度)를 가진다.
[[공유 결합]](共有結合)은 [[원자 궤도]](原子軌道)이 겹쳐진 결과 두 [[원자]]가 전자쌍(電子雙)을 공유하게 되어 생성되는 결합을 의미한다. [[공유 결합]]이 형성되는 결합은 발열반응(發熱反應)인데, 이때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이 그 결합의 [[결합 에너지]]이다.<ref name="mcgraw"/> [[결합 에너지]]만큼의 [[에너지]]를 그 결합에 가해주면 결합은 끊어질 수 있다.<ref>Ibid., pp. 80~81.</ref>
[[금속 결합]](金屬結合)은 금속 원자에서 [[전자]](電子)들이 떨어져 나와 [[자유전자]](自由電子)를 생성하게 되어 생성되는 결합을 의미한다. 금속의 특성인 [[연성]](延性)과 [[전성]](轉成)이 생성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 화합물 ===
{{본문|화합물}}
[[화합물]](化合物)은 구성하고 있는 [[원자]]의 종류, 수, 배치에 의해서 그 특성이 결정된다. 자연에서 찾을 수 있거나 인공적으로 합성(合成)할 수 있는 [[화합물]]의 수는 엄청나고, 이들 중 대부분은 [[유기 화합물]](有機化合物)이다. [[유기 화합물]]을 이루는 주된 [[화학 원소]](化學元素)인 [[탄소]](炭素)는 다른 [[화학 원소]]와는 다르게 매우 긴 사슬 형태로 정렬될 수 있으며, 같은 수많은 [[이성질체]](異性質體)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자식]](分子式) C<sub>8</sub>H<sub>16</sub>O는 약 천 개의 서로 다른 [[화합물]]을 뜻할 수 있다.<ref name="mcgraw"/>
== 분과 ==
화학은 취급 대상(取扱對象) 및 대상의 취급 방법에 따라서 몇 가지 분과(分科)로 구분될 수 있다. [[물질]]을 분석하는 [[분석화학]](分析化學)은 크게 [[물질]]의 존재를 취급하는 정성 분석과 물질의 양을 결정하는 정량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탄소]]를 포함한 [[유기 화합물]](有機化合物)을 다루는 [[유기화학]](有機化學)과 유기 화합물을 제외한 [[무기 화합물]](無機化合物)을 다루는 [[무기화학]](無機化學)도 있다. [[물리학]](物理學)과 화학의 경계에는 [[물리화학]](物理化學)이 있고 [[생물학]](生物學)과의 경계에는 [[생화학]](生化學)이 있다. [[물리화학]]에서 특히 [[분자]]의 구조와 성질과의 관계를 다루는 부분을 [[구조화학]](構造化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제2차 세계 대전]](第2次世界大戰) 이후에는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방사화학]](放射化學)이 발전하였고 화학 공업을 다루는 [[공업화학]](工業化學)도 있다.<ref>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편, 성용길, 김창홍 역, 〈화학의 분류〉, 《화학대사전》(Vol. 10), 서울: 世和, 2001, 627쪽.</ref> 이 외에도 화학의 분과는 매우 다양하다.
화학의 분과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분과는 더욱 세분화될 수 있다.
=== 무기화학 ===
{{본문|무기화학}}
[[파일:Tetraamminecopper(II)-3D-balls.png|섬네일|right|250px|무기 화합물의 예([Cu(NH<sub>3</sub>)<sub>4</sub>]<sup>2+</sup>]]
[[무기화학]](無機化學)은 [[유기화학]]에서 다루지 않는 [[물질]]을 다루며 주로 [[금속]]이나 [[준금속]](準金屬)이 포함된 [[물질]]에 대해서 연구한다. 따라서 [[무기화학]]에서는 매우 넓은 범위의 [[화합물]]을 다루게 된다. 초기에는 [[광물]](鑛物)의 구성이나 새 [[화학 원소|원소]]의 발견이 주요 관심사였고 여기서부터 [[지구화학]](地球化學)이 분기되었다. 주로 [[전이 금속]](轉移金屬) 등을 이용한 [[촉매]](觸媒)나 생물에서 [[산소]] 수송(酸素輸送), [[광합성]](光合成), [[질소 고정]](窒素固定) 등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금속]] [[원자]]들에 대해 연구하며 이 외에도 [[세라믹]], [[복합재료]](複合材料), [[초전도체]](超傳導體)등에 대한 연구를 한다.<ref name="mcgraw"/>
=== 물리화학 ===
{{본문|물리화학}}
[[물리화학]](物理化學)은 화학적 현상(化學的現象)에 대한 해석과 이를 설명하기 위한 물리적 원리들에 대해 다루는 분과이다. 화학반응(化學反應)에 관련된 열역학적 원리와 [[물질]]의 물리학적 성질에 대한 설명은 [[물리화학]]이 다루는 고전적인 주제이다. [[물리화학]]은 [[양자화학]](量子化學)의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분광계]](分光計)나 [[자기 공명]](磁氣共鳴), [[회절]](回折) 기기 등 [[물리화학]]에서 사용하는 실험 장비나 실험 방법(實驗裝備)들은 다른 화학의 분과에서도 매우 많이 사용된다. [[물리화학]]이 다루는 대상은 [[유기 화합물]], [[무기 화합물]], [[혼합물]](混合物)을 모두 포함한다.
=== 분석화학 ===
{{본문|분석화학}}
[[분석화학]](分析化學)은 [[물질]]의 조성이나 [[혼합물]](混合物)의 구성요소(構成要素) 등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는 화학의 분과이다. 혼합물을 이루고 있는 성분의 탐색(探索), 분리(分離), 정량(定量)과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비율을 측정하여 [[분자식]]을 결정하는 일 등이 분석화학에서 행해진다. [[1950년대]]의 분석화학의 발전은 많은 [[질량 분석기]]를 포함한 분석 기구의 등장을 불러일으켰다. 이 외에도 고해상도(高解像度) [[크로마토그래피]], [[전기화학]](電氣化學)에서의 많은 실험방법(實驗方法) 등은 분석화학에 있어서 중요한 분석법이다. [[분석화학]]에 있어서 최종 목표는 더 정확한 측정법(測定法)이나 측정기기(測定機器) 등을 개발하는 것이다. 분석화학의 발전으로 인해 환경오염 물질(環境汚染物質) 등을 [[그램|피코그램]]의 수준에서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ref name="mcgraw"/>
=== 생화학 ===
{{본문|생화학}}
[[파일:Haemoglobin-3D-ribbons.png|right|250px|thumb|헤모글로빈]]
생화학(生化學)에서는 이와 같이 생물체에서 기능하는 물질들을 다룬다.화학의 관점(觀點)에서 다루는 학문이다. [[식물]](植物)이나 [[동물]](動物)의 [[세포]](細胞)에서 발견되는 [[물질]]이나 일어나는 [[화학 반응]]들이 주 관심사이다. 생명체(生命體)에서 발견되는 [[탄수화물]](炭水化物), [[지방]](脂肪), [[단백질]](蛋白質), [[핵산]](核酸), [[호르몬]] 등은 [[유기 화합물]]이라서 [[유기화학]]에서도 다루어지기도 하나, 이들 [[화합물]]에 관련된 [[물질대사]](物質代謝) 과정이나 조절 과정에 대한 연구는 [[생화학]]의 고유 분야이다. [[효소]](酵素)와 [[조효소]](助酵素), 그리고 이들의 작용 과정에 대해서도 연구하며, [[세포막]](細胞膜)을 통과하는 [[이온]]과 [[분자]], [[신경전달물질]](神經傳達物質)과 다른 조절 물질들의 작용에 대해서도 연구한다. [[생화학]]은 [[내분비학]](內分泌學), [[유전학]](遺傳學), [[면역학]](免疫學), [[바이러스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ref name="mcgraw"/>
=== 유기화학 ===
{{참고|유기화학}}
[[유기화학]](有機化學)은 [[탄소]](炭素)로 이루어진 [[화합물]](化合物)을 연구하는 분과이다. 원래 [[유기 화합물]]은 [[식물]]이나 [[동물]]로부터 추출해낸 [[화합물]]을 뜻하였으나 지금은 [[유기 화합물]]의 범위가 크게 넓어져 [[탄소]] 사슬 또는 [[탄소]] 고리를 가진 모든 [[화합물]]을 뜻한다. [[유기화학]]의 오랜 관심사는 [[유기 화합물]]의 합성 메커니즘이다. 현대에 들어서 [[핵자기 공명]]법(核磁氣共鳴法)과 [[X선 결정학]](X線結晶學) 등이 개발되어 [[유기 화합물]] 분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플라스틱]], [[합성섬유]](合成纖維)등의 고분자물질(高分子物質) 등도 [[유기화학]]에서 다루어진다.<ref name="mcgraw"/>
== 참고 문헌 ==
* [[데이비드 W. 옥스토비|Oxtoby, D. W.]] et al.,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6th edition, Belmont: Thomson Brooks/Cole, 2007.
* Parker, S. P. et al., ''McGraw-Hill encyclopedia of chemistry'', New York: McGraw-Hill, 1993.
* 東亞出版社 百科事典部 편, 《東亞原色 世界大百科事典》, 서울: 東亞出版社, 1982~1983.
* 學園出版公社 事典編纂局 편, 《學園世界大百科事典》, 서울: 學園出版公社, 1993.
* 化學大辭典編集委員會 편, 성용길, 김창홍 역, 《화학대사전》, 서울: 世和, 2001.
== 같이 보기 ==
* [[주기율표]](週期律表)
* [[화합물 목록]](化合物目錄)
*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國際純粹應用化學聯合)
* [[대한화학회]](大韓化學會)
== 각주 ==
<references/>
== 외부 링크 ==
* {{위키공용분류-줄}}
* [http://navercast.naver.com/science/chemistry/547 네이버 캐스트 - 효도하는 화학]
* [http://www.kcsnet.or.kr/ 대한화학회]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3878&cid=40942&categoryId=32387 네이버 지식 백과]
* [http://www.cheric.org/resource/term/ 화학공학연구정보(化學工學硏究情報)센터 용어 검색]
{{자연과학}}
{{화학 분야}}
{{전거 통제}}
[[분류:화학| ]]
[[분류:자연과학]]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n{{나라 정보\n|나라이름=체첸 공화국\n|현지이름=(...TRUNCATED)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n{{전자기학}}\n{{장방정식}}\n'''맥스웰 방정식'''(-(...TRUNCATED)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n[[파일:PI constant.svg|섬네일|370x370픽셀|[[원주율]]({(...TRUNCATED) |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n'''음계'''(音階)는 [[음악]]에서 [[음높이]](pitch) (...TRUNCATED) |
End of preview. Expand
in Dataset Viewer.
위키피디아 20241201 덤프를 아무런 가공도 안 한 데이터셋입니다. 가공 하나도 안 한 원본 덤프 없길래 올렸습니다. 가공 안 된 데이터는 필요한데 xml 파싱하는 코드 작성은 귀찮거나 그냥 할 줄 몰라서 못 하시는 분들 있으면 가져다 쓰세요.
- Downloads last month
- 51